18.222.125.171
18.222.125.171
close menu
KCI 등재
게임아트의 추상적 비쥬얼 형식 분석을 통한 문화 컨텐츠로의 활용가능성 제안(JODI 와 TOM BETTS 작품을 중심으로)
Proposal for Use Possibility as Culture Content Using Abstract Visual Form Analysis of Game Art (Focused on Works of JODI and TOM BETTS)
김경남 ( Kim Kyoung Nam ) , 김태용 ( Kim Tae Yong )
한국디자인포럼 16권 61-71(11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066274

게임 아트는 디지털 아트의 맥락에서 사회, 문화적 실행을 확장시키고, 게임아트의 추상적 비쥬얼의 형식은 프로그래머들에게 필요 없었던 에러에 관한 새로운 개념으로 해석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 해석들은 게임 아트의 추상적 비쥬얼 형식의 가치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아트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추상적 비쥬얼의 형식적인 면을 중심으로 게임 아트를 해석한다. 그래서 신비감, 속도감, 혼란함 등의 판타시즘을 연출하고 엔터테이먼트 기반 테크놀러지에서 심리적 사실감을 반영하는데 게임 아트의 추상적 비쥬얼 형식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Game art has been analyzed to extend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expansion in digital art context. and the abstract visual form in game art has been analyzed as new concept move about error which is unnecessary to programmer. But these analysis methods may mainly cause to diminish a value of the abstract visual form. In this paper, to promote the usability of game art, we analyze game art with focus on the abstract visual form. We show that the abstract visual form in game art is available to presenting fantasia with a mystique, speed, confusion and so on. and to reflecting psychological reality in entertainment indust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