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7.212
3.142.197.212
close menu
KCI 등재
노르웨이 민속의상 버나드(BUNADS) 에 관한 고찰
On Traditional Folk Costumes in Norway : Bunads
이서희 ( Seo Hee Lee )
한국디자인포럼 21권 29-40(12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051019

세계화, 국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가 획일화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지구상의 민족이나 지역에 따라 오랜 세월동안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다양한 복식형태의 민속의상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 여러 나라 중 민속의상이 잘 보존되어 있는 노르웨이 민속의상(Bunads)을 분석함으로써 현대복식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적 고찰과 복식 사진자료, 참고서적을 분석을 활용하여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르웨이 민속의상 버나드를 지역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적 영향으로 시골의 서민 문화를 반영하는 의상으로, 기본구성을 보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남성복은 18세기 후반부터 정착된 재킷과 린넨 셔츠, 바지형태에 기초를 두며 조끼, 모자, 니트, 스타킹, 버클 장식이 있는 검정구두 등으로 구성된다. 여성복은 집에서 직조한 린넨 블라우스를 기본 상의로 스커트, 앞치마, 소매 없는 재킷이나 몸체(bodice)와 숄 그리고 머리장식으로 스카프 또는 보넷으로 구성된다. 둘째, 민속의상의 사용색은 검정, 흰색, 다크 블루, 빨강, 녹색, 노랑이 사용되었으며 무늬는 북쪽지방일수록 체크무늬가 많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바이킹의 영향으로 태양을 상징하는 은제 원형 장신구가 많다. 단추, 체인, 브로치 등으로 옷을 여미거나 장식하였다. 장식품들은 은, 황동, 백랍 등으로 만들어 졌다. 넷째, 추운지역이어서 직물은 두꺼운 모직을 주로 사용하였고, 자수, 술, 직조, 아프리케 등 수공예적 요소가 복식에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주변국가인 덴마크, 스웨덴이 무지를 사용한 것에 비해 노르웨이의 민속의상은 몸체 양 옆, 가장자리 부분이나 가슴 중앙 부분에 수놓았다. 다섯째, 기혼과 미혼을 구분하는데 머리 장식과 의상 색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Although the whole world gets unified influenced by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sm, various traditional wears of each race and region still do exist, which inher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 a lo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ment of contemporary dress design, by analyzing Norwegian traditional wear Bunads, where is a country to preserve their traditional wears well. A method of it was comparative study, mainly researching records and photos, and analyzing cited books. Results of analyzing Norwegian traditional wear Bunards according to regions, are following. First of all, because of its origin, it reflects wear of rural folks, of which basic formation is generally like this. For men there are basically jacket which has been settled since late 18th century, linen shirt and pants, along with vest, hat, knit stocking, and black shoes with buckle decoration. For women there is basically home-woven linen blouse, along with skirt, apron, sleeveless jacket or bodice accompanied by a shawl, and scarf or bonnet for head ornament. Secondly, main colors of traditional wears were black, white, dark blue, red, green and yellow, while the more check patterns got used as it gets to the North. Thirdly, being influenced by Vikings, there are so many silver round trinkets, which stand for the sun. Buttons, chain, or brooches were used to straighten or decorate clothes. Trinkets were made of silver, brass or pewter etc. Fourthly, thick wool was mainly used because there was freezing. Handicrafts such as embroidery, tassels, weaving, or applique were used much. Especially whil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Denmark or Sweden mainly used solid cloth, traditional wear of Norway was embroidered on both side of the body, on edgy or at the center of breast. Fifthly, they divided single and married persons by head ornaments or color of cloth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