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238.187
3.20.238.187
close menu
KCI 등재
나전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디자인 표현특성 분석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on Nacre Products
박영순 ( Park Young-soon ) , 정의철 ( Jung Eui-chul ) , 김은정 ( Kim Eun-jeong ) , 한민희 ( Han Min-hee )
한국디자인포럼 28권 53-66(14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230645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나전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디자인 표현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디자인 표현특성으로는 상품의 유형에 따라 문양의 종류와 의미, 제작기법, 바탕소재와 자개의 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품 유형으로는 생활용품과 문구/사무용품이 주를 이루었고, 특히 `함`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제품의 다양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양에서는 식물, 동물, 자연산수가 가장 흔하게 나타났는데, 이들 모두 과거의 사실적인 형태 그대로 계승되고 있어 보다 현대적으로 단순화되고 추상적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었다. 재료에서는 목재의 사용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한지와 금속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제작기법으로는 대부분 의 문양이 주름질에 치우쳐 제작되고 있었다. 이러한 통계적 수치는 한국전통문양과 제작기법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언급된 특정 유형을 중심으로 나전공예의 범위와 기술이 축소되어 비쳐질 염려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study aimed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nacre culture goods sold through online shop. For the analysis, design characteristics included patterns,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Most of nacre culture goods turned out to be personal care goods and stationary, especially boxes for accessories. For the patterns, plants, animals and natural landscapes were mostly used. The applied patterns have maintained traditional and descriptive shapes, which need to be developed in more simple and abstract forms. As materails, Woods were most used and traditional Korean papers were mostly used for the goods. As a technique, most nacre culture goods were biased in Jul-eum-jil which is the one of th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In this statistics can lead to misunderstanding nacre culture goods and techniques as specific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re is a broad variety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production techniqu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