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74.174
3.138.174.174
close menu
KCI 등재
현대미술이 내포하는 키치표현과 대중예술의 상징성
Kitsch expression in the contemporary arts and symbolism of the popular arts
김재원 ( Kim Jae Won )
한국디자인포럼 32권 71-86(16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213726

19세기 말 키치는 시민사회에서 발생하여 자연스럽게 대중사회로 이행하였으며 그로인해 일상생활 환경도 크게 변화하였고 인공적이며 확고부동한 대중문화가 성립해 갔다. 또한 20세기 동시대에는 다양한 현상이 나타나고 복합적인 연관성이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나 키치적인 현상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외형적으로 팝아트에서 나타나는 키치적 산물과 이미지에 대한 전략적인 차용은 본질적인 의미가 다르기는 하지만 키치의 영역을 예술로 승화시키려는 선구적인 양상을 찾아볼 수 있다. 현대미술은 기존의 관습에서 벗어나 예술가의 무한한 자율적 감수성을 존중함에 따라 예술의 영역에서 다원화를 제기하였고 키치의 문제는 가치론적 입장에서 벗어나 대중문화와 함께 사회구조 안에서 쉽게 통용되어지고 있으며 기존 미학적 개념을 초월한 새로운 미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현대 대중예술은 미디어에 의한 기술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상업화된 소재를 거부감 없이 사용하며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는 점에서 일련의 키치(Kitsch)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에 있어 미의식에 따른 키치의 예술적 가치를 정립하고 예술, 키치, 대중문화라는 상관관계를 살핌으로서 현대미술에 나타난 키치와 대중문화와의 상징성을 연결시켜서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he appearance of Kitsch in late 19th century was soon brought into the popular society that transformed environment establishing artificial and solid popular culture at last. And, Kitsch phenomenon can be found widely while various and complex connection is witnessed in the 20th century. In particular, strategic adaption of Kitsch production and image in the pop art is a pioneering effort to sublime Kitsch into arts although there is fundamental differences in meaning. In line with a trend of the contemporary arts that respects unlimited autonomous sense of arts escaping from the current custom, Kitsch raises pluralism in the art, and is easily utilized in social structure with popular culture beyond axiological position. It even suggests a new artistic possibility transcending the existing aesthetic idea. Moreover, the contemporary popular arts are actively receptive in technical culture by media, utilizing commercialized resources freely and accepting popular culture positively. In this sense, it shows a kind of Kitsch phenomenon. Thus, this article attempts to establish artistic value of Kitsch by the aesthetic in the contemporary arts and to figure out correlation between arts, Kitsch and popular culture, which is followed by the interpretation of Kitsch in connection with symbolism with the popular arts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