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42.94
3.145.42.94
close menu
KCI 후보
대형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사용성 증진을 위한 UI 디자인 방향 제안
Suggestion of UI Design Directions for Improving Usability of Larg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육제민 ( Je-min Yook ) , 최정민 ( Jung-min Choi )
한국디자인포럼 49권 119-128(10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151194

연구배경 큰 화면의 디스플레이 앞에 서있는 상태로 다양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DID는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지적, 신체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러한 기기의 특성은 정보를 이해하고 탐색하는 과정상에 지속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대형 DID의 실재적인 효용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DID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적합한 UI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는 현황 이해, 사례 분석, 개선 방향 제안으로 구성된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형 DID의 개념과 인터페이스 환경의 특징을 이해하였으며 서울 시내 DID를 대상으로 사용자 관찰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대형 DID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은 공통적으로 DID의 인터페이스 환경이 제한된 가시영역과 조작영역을 갖는 문제에 기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향후 UI 디자인의 개선방향을 내비게이션, 레이아웃, UI 컴포넌트의 세가지 단계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대형 DID의 UI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정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제안한 방향성이 실제적 검증을 통해 규명 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그 효용성을 분명하게 밝히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향후 구체적인 사례 개발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 그 방향성을 구체화 하고자한다.

Background DID performing a variety of tasks in a state standing in front of a large scree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evice, the cognitive and physical burden is relatively large. These weakness of a device cause a continous problems in process of understanding information and exploring, and it reduce a practical effectiveness of DI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suitable direction of the UI design for environment of large DID interface. Methods The study consists of understanding, case analysis and suggestion of improving direc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environment and the concept of the large DID and then conducted a user surve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on the large DID that are installed in the city of Seoul. This study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by analysing derived problems. Result The problems were based on common issues of DID`s interface environment, limited visibility area and the operating area. Based on these issue,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interaction design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future UI design to navigation, layout, UI components three steps.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summarizes the various issues with the UI design of large DID. However because the suggested direction was not identified by the substantive contents verification. So the effectiveness of that is unclear. Therefore, in next study through the specific prototype development it should practices and refine its effective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