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05.146
3.135.205.146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디자인전공 대학생의 자아효능감, 만족감,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Satisfaction and Academic Outcome of Korean Design Major Students
안지선 ( Jisun An ) , 임낭연 ( Nangyeon Lim )
한국디자인포럼 53권 95-106(12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284976

연구배경 디자인 크리틱은 교육환경에서 강의자와 학생, 때로는 초청된 전문 디자이너 간에 형식적 혹은 비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이다. 지금까지 많은 디자인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크리틱의 학습 효과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연구해왔다. 더불어 교육학 연구자들은 자아효능감이 학습 수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임을 연구해왔다. 디자인교육에서는 자아효능감이 학생들의 실제 학습 성취 능력인 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디자인교육에서의 자아효능감 및 수업 활동 만족도가 디자인 교육의 실제 학업 성취와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 여러 측면에서 양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디자인 전공수업에서 효능감과 성적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Gaffney가 개발한 3가지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3가지 도구는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이다. 2016년 5월에서 6월 사이 K 대학교의 디자인전공 4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SPSS 통계 패키지로 변인의 이변량 상관 분석, 중다 선형 회귀 분석, 요인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자인 활동과 관련된 학생들의 효능감은 학생들의 주관적 예상 성적은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객관적 학업 성취인 학점은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단, 실제 성적은 Studio Self-efficacy에 의해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크리틱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디자인 활동과 관련된 Self-efficacy 및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과는 모두 정적 상관을 가졌으나 최종 학점을 예측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Team Critique 만족도보다 Final Critique 만족도가 예상학점과 실제 성적과 더 강한 상관을 가졌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디자인 교육자들이 수업 중 크리틱을 활용할 때 학생들의 효능감과 수행력을 이해하고 이런 요인들이 학습 성취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Design critique in an educational setting is a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an instructor and students, sometimes with invited professionals through formal and informal feedback. Numerous design educators have investigated how students perceive the learning benefits of critiquing. Although education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elf-efficacy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academic performance, researchers in design education rarely conducted studies on how self-efficacy influences students` grades as academic outcomes. Thus, in this paper, we aim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how efficacies in design education relate with academic outcomes and students` satisfaction from various aspects. Method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in design studios and grades in design projects, we used three scales developed by Gaffney: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We surveyed forty-four design students at K University from May 2016 to June 2016. An SPSS Statistics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To conduct this analysis, we use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sult First, students` efficacy predicted their anticipated grades, but not their final letter grades. In contrast, final letter grades are marginally correlated with Studio Self-efficacy. Second, satisfaction in critique activities positively correlates with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However, this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final letter grades either. Lastly, satisfaction with Final Critique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both anticipated letter grades and final letter grades than satisfaction with Team Critique. Conclusion This study would help Korean design educators who are utilizing a critiquing method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efficacy and competence and how the factors relate with academic outcom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