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0.240
18.118.0.240
close menu
KCI 후보
국내 기존 장애인주택 가이드라인의 구성체계 분석
Analysis of the Existing Housing Design Guidelines for the Disabled in Korea
김보애 ( Kim Bo-ae ) , 이연숙 ( Lee Yeun-sook )
한국디자인포럼 46권 107-116(10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159276

최근 고령자 및 장애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생활환경의 조성이 중요함에도. 현행 법규에서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주택 내부에 관한 규정이 없다. 또한 법규에는 없으나 사안의 시급성에 따라 꾸준히 개발된 가이드라인이 존재하나 이들에 대한 종합적 분석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제까지 개발된 가이드라인의 현황을 파악하고 세부 구성 체계를 도출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2000년 이후 이제까지 개발된 장애인주택 가이드라인 문헌 총 10권이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유목은 크게 대상주택유형, 대상 장애유형, 개발목적, 개발절차 등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는 분석유목과 공간유형별, 장애유형별 구성 비율을 포함한다. 연구결과 첫째, 기존 가이드라인 상당부분의 내용에 개발근거 및 출처들의 부재로 신뢰성과 독창성을 인정하는데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기존 가이드라인의 내용에 일관성을 논하기 어렵다. 둘째, 기존 가이드라인 항목들을 취합하여 전반적인 구성 체계를 도출해본 결과, 총 9개 공간유형과 총 71개의 세부구성체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가이드라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해 주는 1차적 틀이 형성 되었으나 장애인주택 가이드라인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질 미래를 위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검증되어진 가이드라인의 발전이 필요하다.

Although, living environment shaping is important, as the aged and disabled people rapidly increase recently, there is no regulation on the inside of housing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n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Even though, some guidelines were steadi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urgency of situation, despite no existence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y comprehensive and analytic research on those guidelines has yet to be carried out.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lize the existing guidelines for the housing for the disabled and analysis of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The target for analysis is 10 existing housing guidelines for the disabled, developed after 2000s to the present. The content analysis technique was used. Analysis criteria included target housing types, target disability type, development purpose and procedures and spatial type and disability type. As a result, there were first lack of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guideline omitting the source and origins of those items. Second, 9 space 71 classified concept were extracted using 1910 items from source of literature.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structure of the guideline were found., there are in great need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disabled housing which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