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56.140
3.15.156.140
close menu
KCI 등재
미국 팝 뮤직 동영상에 나타난 디지털 폐인 문화 관점의 패션 특성
Fashion Characteristics in Aspect of Digiholic Culture on American Pop Musician Videos
이해동 ( Hae-dong Lee ) , 이민선 ( Min-sun Lee )
한국디자인포럼 54권 155-170(16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459708

연구배경 디지털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디지털 폐인(廢人) 문화 역시 일반 사람들에게 확산되어 가고 있고, 소비, 패션, 음악, 문화 등 대중들에게 영향을 크게 끼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폐인 문화는 미래의 소비 패턴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미국 팝 뮤지션들의 영상에 나타난 패션 특성을 디지털 폐인 문화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패션 브랜드 이미지 기획, 광고 등 패션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로는 디지털 폐인 문화에 대해 관련 문헌, 논문, 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실증연구로는 미국 팝 뮤지션 동상에 나타난 패션 특성을 디지털 폐인 문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폐인 문화의 특징은 오류, 퇴행, 가변, 이탈 총 4개로 분류되었고 이러한 특징들은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의 패션의 특성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오류 이미지는 언어 파괴가 시도되면서 오류 및 버그가 나는 언어게임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오류가 나는 화면이 자주 출현되었다. 둘째, 퇴행 이미지는 아이러니와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전 기술을 사용하는 퇴행 적 이미지가 자주 출현되었다. 셋째, 가변 이미지는 다중정체성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정체된 대상이 변화하는 가변 이미지들이 자주 출현되었다. 이탈 이미지는 카니발화와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몸부림치면서 강박증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현실 세계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카니발을 꿈꾸는 듯한 이탈 이미지들이 자주 출현되었다. 결론 미국 팝 뮤지션들은 디지털 폐인의 문화를 이해하고 디지털 폐인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영상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의 모델, 디자이너 그리고 자신의 고유 브랜드를 런칭하여 음악뿐만 아니라 패션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팝 뮤지션의 동영상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대한 고려는 트렌드를 선도하는 이미지를 창출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fashion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op musicians in terms of digiholic culture and providing data that can be used in fashion industry such as fashion brand image planning, fashion advertisement and etc. Methods In the literature research, digiholic culture as a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digital era was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digiholic culture, articles and sites. And in the demonstrative research, the fashion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videos were analyzed in aspect of digiholic cultur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digiholic cultur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Error, Regression, Variability, and Escape and these features were confirmed as digital fashion images of pop musician music videos. First, the Error image can be interpreted as a language game with errors and bugs as the language destruction is attempted, and Error images often appeared in pop musician videos. Second, the Regression image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s irony, and in the pop musician videos, the Regression images using the old technique often appeared despite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Third, Variability image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as multiple identities, and Variability images with static objects transforming frequently appeared in pop musician videos. Finally, the Escape image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as the carnival and in the pop musician videos, the Escape images frequently appeared for the carnival to flee the modern people who struggle to adapt to the chronological change and suffer from obsession. Conclusion The digiholic culture is spreading to general people and it has great influence on the consumers such as consumption, fashion, music and cultu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patterns in the future through digiholic culture. The fashion characteristics in the videos are expected to help to sparkle creative ideas in the fields of planning, display, and advertisement in the fashion indust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