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53.5
18.221.53.5
close menu
KCI 등재
한·미 영화포스터의 내용적 측면과 시각적 측면에 관한 내용분석 - 역대 박스오피스 순위 톱 50을 중심으로 -
Content Analysis on the Content aspect and Visual aspect of Korean and U.S Movie Posters - Focused on the Top 50 box office movies -
진진아 ( Jin Jinah ) , 이철영 ( Lee Chullyoung )
한국디자인포럼 54권 181-192(12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459728

연구배경 영화포스터는 영화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흥미를 자극하는 시각적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영화흥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광고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화마케팅의 꽃인 포스터에 함의된 내용적 측면과 시각적 측면에서 한국과 미국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영화진흥위원회에서 발표한 역대 박스오피스 톱 50을 대상으로 한국과 미국의 영화 메인포스터 100편을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용적 측면에서 스토리텔링 유형은 한·미간 매우 유의미한 수준의 결과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르유형은 한·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크레딧과 개봉일은 한·미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적 측면에서 메인타이틀 서체형식, 방향, 색상은 한·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위치는 유의미한 수준의 결과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인비주얼 이미지 유형은 한·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표현내용 유형, 모델 수, 배경색상은 유의미한 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영화포스터 디자인뿐만 아니라 모든 포스터에 있어 시대와 문화와 환경에 맞는 새로운 관점의 디자인을 모색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The poster of the film intrigues spectators, and has a role as a visual catalyst. Further, it directly influences the consequence of the box office, and acts as an advertisement. This research attempt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form of content aspect and visual aspect of the movie poster, which is the most representing feature of the movie marketing. Methods To the subject of Top 50 box office movies in the history, announced by the Korean Film Council, 100 main posters of the movie of USA and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chi-square verification. Result Firstly, a form of the storytelling showed very notable level of differences between the USA and Korea. And type of genre of the movies statistically influenced to the difference. Also the credit and the release dat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the font of the main title, direction and colo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tions. However, the location of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a form of the main visual imag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However, a form of the content of expression, the number of the model and the background color did not show remarkable dif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is attempting to suggest a way of new perspective of design that goes with the era, culture and surroundings, applying the multi-cultural code not only to the movie poster design, but also to poster of all kin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