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221.113
52.14.221.113
close menu
KCI 등재
한문(漢文)과 학교 문법의 보어 특성 고찰
Consideration of Complement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and School Grammar
공민식 ( Kong Min-sik )
한문학논집 47권 261-288(2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572740

본고는 형태론적, 의미론적, 통사론적 관점에서 보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대부분의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목적어의 일반적인 특성(대상성, 피영향성)을 한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고, 보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정되던 의미적 특성 뿐 아니라 통사적 특성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보어는 초점이 되는 서술 대상(주어, 목적어)의 상태를 의미적으로 보충하는 특성이 있다. 이때 서술 대상과 보어는 통사론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보어는 서술 대상을 대신하여 지정·확인하는 방식(대유성)을 통해 의미적인 완결성을 이룬다. 결론적으로 보어는 의미론적 측면에서 보충성을, 통사론적 측면에서 대유성(代喩性)을 중요한 특성으로 갖는다. 그리고 보어의 이런 특성을 바탕으로 문장성분(목적어, 부사어)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보어의 이러한 특성이 보어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함에 있어 확정적이고 절대적인 조건으로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보어의 설정은 교과 내용으로서가 아니라 언어 탐구 과정으로서의 문법 교육적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단순히 보어의 개념과 특성을 확정하는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수 학습 과정에서 언어 현상에 대한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 한다. 결국 문장 성분의 개념을 고정 불변의 대상으로 확정하고, 그 범주 안에서 적용 가능한 예문들 중심으로 문장성분을 확인하는 결과 중심의 문법 교육이 아닌 보어의 특성을 통해 문장성분으로서의 기능과 의미를 찾고, 그것을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언어탐구과정으로서의 문법 교육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문장성분에 대한 지식 그 자체가 아니라 언어적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어의 개념과 특성을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 of a complement from the morphologic, semantic, syntactic perspective. Particularly,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general characteristic(objecthood, affectedness) of an object, which is commonly acknowledged in most of the languages, in Chinese classics as well, and in case of a complement, this study could draw a conclusion as follows by explaining it(a complement) structurally based on a syntactic characteristic, not to mention the generally acknowledged semantic characteristic. A complement has a characteristic of semantically supplementing the state of its focus-an object for description(subject, object). At this moment, the object for description and a complement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each other syntactically, and a complement achieves semantic completion in place of an object for description through the way of designation & confirmation (synecdochic nature). Conclusively, a complement has a supplementary nature from a semantic aspect, and a synecdochic nature from a syntactic aspect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In addition, on the basis of such a characteristic as a complement,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a sentence constituent is presented as follows: However, such a characteristic of a complement should not be accepted as a definite, absolute condition in setting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a complement. Complement setting has big significance from the grammar education aspect as the language inquiry course other than a subject content. Setting up a complement provides a precious opportunity to improve the ability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a language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ther than ending in simply finaliz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a complement. Ultimately, it`s necessary to look for the function and meaning as a sentence constitu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a complement, and to concentrate the function and meaning as a sentence constituent on grammar education as a language inquiry course which applies them to Chinese classics reading other than the school grammar subject to the result-centered curriculum which fixed the concept of a sentence constituent as a fast & hard object, and gets students to simply memorize it. In other words, it`s definitely necessary to get a new angle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a complement from the perspective aiming to improve the linguistic inquiry ability other than the knowledge itself of a sentence constituent.

1. 서론
2. 보어에 대한 기존 견해
3. 보어의 특성 고찰
4. 결론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