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89.85
18.191.189.85
close menu
KCI 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글쓰기의 의미 고찰 - 『남도사람』 연작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eaning of writing in the Novel of Lee Cheong Joon
이희정 ( Lee Heejung )
UCI I410-ECN-0102-2018-800-000572917

이청준 작품 『남도사람』의 주인공 사내는 이청준의 다른 소설의 주인공처럼 역시 상징적 아버지의 법의 억압에 의해 외디푸스 콤플렉스를 정상적으로 극복하지 못한 채 상상계(the Imaginary phase)에 고착되고 있다. 이 고착은 헤매임이라는 병적 징후로 나타나 누이를 향한 욕망의 미끄러진 대상인 소리를 찾아 떠돌게 된다. 나그네의 이러한 과정은 이청준의 글쓰기 욕망이 상징계적 억압 속에서의 병적 징후의 발산임을 대변하는 것이다. 이후 나그네는 자신이 찾아다니는 누이, 즉 소리의 종적을 통해 용서와 화해하는 마음을 얻을 수 있었고 그로서 사내는 상상계적 고착에서 벗어나 상징계로 진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징계(the symbolic phase)로의 진입 후에도 자신이 욕망하는 대상인 조화롭고 화해로운 세계는 여전히 현실 속에서 결핍으로 존재함을 깨닫고 그 차액으로서의 욕망을 다시 찾아다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이청준이 글쓰기를 통해 끊임없이 미끄러지는 욕망을 충족하고 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모습은 작품 「새와 나무」, 「다시 태어나는 말」에서 주인공이 억압에서 벗어나 `말의 진실`의 세계로 다가가고자 하는 환유적 욕망의 충족으로 드러난다. 이 훼손된 세계속에서 고착되어 나타나는 이청준의 부친살해 욕망이 현실 고발로서의 글쓰기로 행해지고 있었으며, 그것은 또다시 욕망의 미끄러짐을 통해 환유적 글쓰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이청준 작품에 나타나는 주인공의 욕망의 과정은 작가 이청준에게는 글쓰기 과정의 의미와 그 맥을 같이 한다.

Just like the other protagonists of Lee Cheong Joon`s novel, the male protagonist in Lee`s novel `Namdosaram` is becoming fixated in an imaginary phase as he was not able to overcome the Oedipus complex from the symbolic suppression of a father-figure power. This fixation appears as a morbid symptom of wandering and the protagonist roams in search for `Pansori`, the object of a glissement of desire for his elder sister. Such wandering is an indication that Lee`s desire for writing is a release of his morbid symptom from a symbolic suppression. Later the wanderer find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n his mind through the search for his sister that is to say the traces of `Pansor`i, thus breaking away from the imaginary fixation to enter into the symbolic phase. However, even after entering into the symbolic phase, he realizes that even his object of desire which is a harmonious and reconciliatory world, only exists in deficiency, and roams again to find the remaining difference of his desire. This represents the tireless glissement of desire for satisfaction through the Lee`s writing. Such happening is also revealed through the protagonists in The Bird and the Tree and The Rebirth of the Word where the protagonists break away from suppression to satisfy the metonymic desire to get closer to a world where `the word is true.` The desire of Lee to kill his father, revealed through the fixation of a damaged world, is being acted out through his writing of filing a complaint against reality. This through the glissement of desire is followed by a metonymic writing. The process of the protagonist`s desire revealed in Lee`s novel is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writing to the author, Lee.

Ⅰ. 서론
Ⅱ. `햇덩이`의 억압과 고착된 욕망으로서의 글쓰기
Ⅲ. 용서와 화해로서의 환유적 글쓰기
Ⅳ. 훼손된 세계의 극복으로서의 글쓰기
Ⅴ.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