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3.154
3.15.3.154
close menu
KCI 등재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 A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Age Groups
정순둘 ( Chung Soondool ) , 김미리 ( Kim Miri )
사회복지연구 48권 2호 121-141(2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64514

본 연구는 고령친화환경을 주거편의 환경, 지역사회 참여환경, 서비스 환경 세 분야로 나누어 각 요소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 연령집단별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화되어가는 고령사회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자료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사업인 「2014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 조사」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총 1,000명의 연구대상자를 20-44세의 청년층 300명, 45-64세의 중년층 300명, 65세 이상의 노년층 400명의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고령친화환경의 세 가지 하위요인과 각 연령집단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연령집단에서 고령친화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연령집단별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의 종류에는 차이가 있었다. 청년층에서는 주거편의 환경이, 그리고 중년층과 노년층에서는 서비스 환경과 주거편의 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고령친화환경은 노인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대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age-friendly environment factors on different age groups` life satisfaction. Data were taken from “2014 Survey on the Aged Society”, with total of 1,000 participa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300 youth participants from age 20 to 44, 300 middle aged participants from age 45 to 64, and older adults participants from age 65 and more. Performing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friendly environment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participants`age. However, the sub-dimensions of age-friendly environment that affected each age group was different. Among three sub-dimensions of age-friendly environment, which were housing factor, social participation factor, and community and health service factor, only housing factor affected life satisfaction of the youth group, while both community and health service factor, and housing factor affected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groups. The result clearly presents that age-friendly environment factors are not only beneficial for older people but for people at all ages. Therefore, various measures need to be taken in order to increase the age-friendliness of commun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