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244.216
13.58.244.216
close menu
KCI 등재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 대상 ProQOL(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연구
Examination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roQOL(Compassion Fatigue/Compassion Satisfaction) Scale for Korean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장현석 ( Jang Hyun Seok ) , 이상훈 ( Lee Sang Hun ) , 양소남 ( Yang So Nam ) , 박소연 ( Park So Youn )
DOI 10.24055/kaps.19.3.7
UCI I410-ECN-0102-2018-300-000557411

갑작스런 재난이나 사고로 인해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정서적 상태 중에서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이 공감피로 (Compassion fatigue)와 공감만족(Compassion satisfaction)이다. 이들 개념은 Figley(1995)에 의하여 제안되었는데, 공감피로는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을 도와주는 전문가들이 겪는 부정적 증상으로서 원조대상이 경험한 충격적 사건을 인지하면서 간접적인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또한 업무로 인한 소진도 더불어 경험하는 상태를 말한다. 반면에 공감만족은 원조 전문가들이 남을 도와줌으로 인하여 느끼는 보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을 측정하는 도구가 ProQOL이다. 일반적으로 경찰관들은 범인을 체포하고 범죄를 예방하는 업무를 주로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져 공감피로와 공감만족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하지만, 범죄피해자들을 가장 먼저 접하는 전문가가 바로 경찰관이고, 최근 경찰청은 범죄피해자에 대한 원조를 강화하기 위해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제도를 시행하였고, 성폭력피해자를 전문적으로 상대하는 해바라기센터 수사관제도 또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들의 경우 범죄피해자 원조 전문가라고 볼 수 있다. 공감피로가 국내 학계에 소개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간호사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공감피로 연구가 있었고, 2016년에 정신건강전문가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적용할 공감피로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화 연구가 학술지에 소개되었다. 하지만,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ProQOL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amm(2009)의 ProQOL 척도를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들에게 적용하여 공감피로와 공감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신뢰도 평가결과와 타당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판 ProQOL척도는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으로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하여 모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3요인을 가지고 있는 ProQOL 원척도와 다르게 2요인으로 하위 척도가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고, 이들 요인은 각각 공감만족과 공감피로로 명명되었다.

Persons, who work professionally to provide assistance for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the sudden disasters or accidents, can experience various kinds of emotional status. Among them,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have been recently received attention by the scholars. Those concepts were proposed by Figley(1995). Compassion fatigue can be experienced among professional helpers as a negative emotional status. While the professional helpers assist people with trauma condition, as the symptom of compassion fatigue they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customer`s hardship as well as go through the burnout status. In the case of compassion satisfaction, it represents an emotional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professional helpers by helping people who went through the tragic incidents. Generally speaking, police officers are known with arresting criminal and preventing crimes as their main duty. So, th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re not related to police officers. However, the first responding professional on the crime victimization is a police officer. Also, recent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ed the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 system(victim officers). There are special police officers who support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refore, those police officers, who specialized in supporting victims of crimes, can be considered professional helpers. The concept of compassion fatigue was introduced very recently in South Korea. Few studies examined the compassion fatigue of nurses and special teachers. In 2016, several studies on the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ProQOL scale for social welfare professional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However, there is no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on the ProQOL for the police officer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ProQOL 5 scale applied to the victim offic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Korean ProQOL scale for the police officer was appropriate to measur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3 factor ProQOL, current study found 2 factor structure was better for the victim officers. Each factor was named a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respectivel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