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72.115
3.144.172.115
close menu
KCI 등재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Korean Labor Novels Crossing the Century : Narrative Theory of Subject and Labor Process
천정환 ( Cheon Jung-hwan )
반교어문연구 46권 127-170(4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738531

한국 노동소설은 `역사적` 양식으로서, 1920-30년대의 식민지 자본주의화, 해방기 노동자계급의 정치행동, 1960~90년대의 산업화·민주화를 맥락으로 삼고 각각 그 시대 `노동`과 노동하는 인간을 표현하고, 사회를 변혁하는 과제에 투여된 글쓰기다. 그래서 노동소설은 제한된 역사성을 넘는 보편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노동`과 문학(글쓰기)이 갖는 긴한 관계 때문이기도 하다. 이 논문의 주된 관심은 1980년대에서 21세시로 이어진 한국 노동소설들의 역사적 단속(斷續)이다. 1980-90년대 노동소설은 한국 민주화 과정의 급진주의 운동 그 중에서도 특히 진보적 휴머니즘이나 전투적 노동조합주의의 경험·윤리·세계관·이상을 표현하는 문예적 구성물이었다. 이제 `노동소설`이라는 개념(호명)조차 마치 화석처럼 겨우 발굴해내야 하는 단층과 깊은 절리(節理)로 돼 있지만, 한국에서의 `노동`과 `노동하는 인간`의 역사가 새겨진 사회적 물체다. 부침과 환각의 과정을 겪어내고 2010년대 한국 소설도 새롭게 `노동`을 재현하고 `노동`에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 소설들을 `근대문학 종언` 이전의 정치적 계몽주의 문학과 등치하거나, 반대로 그 서사적 주체의 계기가 `투쟁하고 연대하는 20세기적 노동자_주체`에서 `고립되고 무능력해진 21세기적 노동자_비주체`로 단순히 이행한 것으로 대비하여 인식할 수는 없다. 새로운 정세에서 `노동`은 `사회적인 것`의 새로운 배치 속에서 다시 주요한 의제가 돼 가고 있다.

Korean labor novels are `historical` forms. These novels have a context of colonial capitalism in the 1920~30s, political behavior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1960~90s. These writings intended to transform society, express `labor` and laboring people at that time. Thus, a labor novel can have a universality(?) that goes beyond the limited historicity. This is also due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literature(writing).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Korean labor novels from the 1980s to the 21st century. Labor novels of the 1980~ 90s were literary compositions expressing the experiences, ethics, world views, ideals of progressive humanism and militant labor unionism among the radicalism movement of Korean democratization process. Now, even the concept of a `labor novel` is almost like a fossil which needs to be excavated and consists fault and a deep joint, but it is a social object engraved with the history of `labor` and `laboring human` in Korea.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ise and fall and hallucinating, Korean novels in 2010 also renewedly represent `labor` and connect to `labor`. However, these novels are not equivalent to the political enlightenment literature before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or on the contrary, it also can not be recognized as the narrative subject`s simple transition of `20th-century worker-subject in the struggle and solidarity` to `isolated and incompetent 21st century workers-non-subject`. In the new situation, `labor` is becoming the main agenda again in the new arrangement of `the social`.

1. 서론
2. 전투적 노동조합주의와 직접 경험의 `문예` 양식
3. `역사적 노동소설`의 내면성과 주체의 윤리
4. 2010년대 노동소설의 서사와 주체
5. 결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