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39.123
18.191.239.123
close menu
KCI 등재
만주어 문법서에서 기술한 -ra와 -ha의 의미 ― 시제(時制)인가 양상(樣相)인가
The Meaning of Manchu -ra and -ha: Are They Tense or Aspect?
박상철 ( Park Sangchul )
인문논총 74권 3호 81-104(24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721696

본고는 만주어의 시상 어미 가운데 특히 비종결형에서 정연한 대립관계를 보이는 -ha와 -ra가 Comrie (1976, 1985) 등의 일반언어학 이론에서 정립된 시상 범주 가운데 어떤 위치에 속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만주어 문법서에서 만주어의 시상(時相) 어미들은 전통적인 `과거/현재/미래`의 시제 대립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는데, Avrorin (1949) 이후 이들을 양상(樣相) 대립을 중심으로 기술하는 경향이 생겨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Avrorin (1949) 이후의 소위 `완결된` 상황을 가리키는 -ha와 `완결되지 않은` 상황을 가리키는 -ra의 양상 대립은 Comrie (1976)에서 정립된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의 대립과는 차이가 있으며, 상대 시제적인 관점에서 과거와 비과거의 시제 대립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rrect positioning of -ha and -ra, which are the only members of participle suffixes in Manchu. Attempts are made to establish if they belong to the categories of tense and aspect, as established in general linguistic theories, such as that of Comrie (1976, 1986). In early Manchu grammars, these suffixes were described mainl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three-way tense distinction of past / present / future. Since Avrorin (1949),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describe these suffixes in aspectual category. However, the aspectual distinction between -ha, which refers to the so-called `complete` situation and -ra, which refers to the `incomplete` situation, differs from the distinction between perfective and imperfective aspect established by Comrie (1976). It can therefore be seen as a tense distinction between past and non-past in terms of relative tense at best.

1. 머리말
2. 만주어 시상 어미의 분포와 의미
3. Avrorin (1949) 이후 양상 대립을 중심으로 기술한 연구
4. 양상 대립 중심의 기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5. 만주어는 시제 중심 언어인가 양상 중심 언어인가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