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71.15
52.15.71.15
close menu
비정규직의 세대 간 전승 : 부모세대의 직업적 지위가 자녀세대의 비정규직 여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rregular Worker`s intergenerational Job Mobility in Korea
김연아 ( Kim Yeona ) , 정원오 ( Joung Wonoh )
UCI I410-ECN-0102-2018-300-00032639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1~10차)를 활용하여 비정규직의 세대 간 전승 여부를 검증했다. 아버지가 비정규직이면 자녀도 비정규직일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여 직업적 지위의 세습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연구(1~8차)에 이어 이번 연구에서도 부모의 직업적 지위는 자녀의 비정규직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경제활동 진입 당시 부모가 비정규직이면 자녀도 비정규직으로 입직할 가능성이 높고, 부모가 정규직이면 자녀도 정규직으로 입직할 가능성이 높았다. 부모세대의 영향력은 현직에까지 이어져 만 15세 이상 현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물론 자녀의 직업적 지위에는 자녀 개인의 노동공급 요인(성별, 연령, 학력)과 노동수요 요인(업종, 직종, 기업 규모), 그리고 초직 경력이 부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모세대의 영향력이 검증됨으로써 직업적 지위의 세대 간 전승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사회의 노동시장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형태로 분절되어 있고, 이중구조화된 분절의 정도가 세대 간 전승될 정도로 심각한 상태라는 점을 함축한다. 이론적 측면에서 보면, 인적자본론의 관점보다는 이중노동시장이론의 관점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문제는 빈곤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정규직 노동시장과 비정규직 노동시장이 이질적인 질서를 형성하고 양 시장 간의 이동성이 제약을 받을 경우 잦은 실업과 빈번한 직업이동을 경험하는 비정규직은 만성적인 소득불안정으로 인해 빈곤의 늪에 빠질 위험이 높다. 2차 노동시장에서의 문제가 빈곤의 악순환과 사회적 양극화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정규직 문제는 고용 총량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고용 안정의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정책 과제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즉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분절 해소를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d intergenerational job mobility(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 by utilizing data of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1st wave 2006 to 10th wave 2015).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father`s irregular occupational status leads to high possibility of his offspring`s irregular job. As it were, we assume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from irregular job to regular job not only on the individual life history but also on the time of family history. Individual`s irregular work experience limits him moving to regular work and affects offspring`s regular or irregular occupational status. This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If the parents have irregular job when their offspring start to get job, the possibility that the offspring have irregular job is high. The opposition is true. If the parents have regular job, the possibility that their offspring have regular job is high. The parent`s occupational status affect their offspring`s occupational status continually, and therefore the present offspring`s job is affected if the parent have got regular work or not. Of course, the offspring`s occupational status is affected the others facts, for example, the labor supply factors(sex, age, education), the labor demand factors( industry, occupation, company size), and their entrance job experience.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the statistical power of the parent`s occupational status is tested after all other affecting factors have been controlled. Our research results insist the perspective of dual labor market theory, and the degree of labor market segmentation is serious level. Because of deepening labor market segmentation, it can say that dual structuring between regular worker and irregular worker were facilitated. Dual structure problem of labor market has significant meaning in terms of having relationship with poverty problem. Regular labor market and irregular labor market shape a heterogeneous order and when both labor market`s mobility is limited, irregular worker experiencing frequent unemployment and career change is at high risk because of chronic income unstability. By considering that problem in secondary labor market is linked to vicious circle of poverty and social polarization, irregular worker problem need to be regarded as active policy task in perspective of employment stability not as total employment. In other words, to solve irregular worker problem, policy stance needs to turn into comprehensive measure for easing labor market segment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