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02.54
3.141.202.54
close menu
KCI 등재
<백민>/<자유문학>의 매체이념과 김송의 단편소설
The media ideologies of < Baek-min >/< Jayu-munhak > and the short stories of Kim, Song
김준현 ( Kim Junhyun )
어문논집 80권 69-94(2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723828

이 논문은 <백민>과 <자유문학>에 실린 김송의 단편소설 작품들을 해당 문예지의 매체이념과 비교하며 살펴보았다. 김송은 두 문예지에서 주된 발간 주체로 활동한 동시에, 소설가로서 두 잡지의 매체이념을 실천하기 위한 단편소설을 해당 지면에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이는 김송과 그의 작품을 문예지의 매체이념과 수록 작품 사이의 관계를 살피기 위한 좋은 사례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김송의 단편소설은 그 작품이 수록된 문예지의 주된 매체이념을 직접적으로 표방하는 성격을 띠고 있었다. 평론 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문예지의 매체이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글(창간사, 간행사 등)과 단편소설만을 발표했다는 점 또한 그의 창작과 문예지 간행 활동의 관계를 특별한 것으로 만든다. 김송의 작품은 다른 어떤 작가의 작품보다도 수록지면과의 상호연관성을 강하고 갖고 있었다. <백민>/<자유문학>의 매체이념과 김송의 작품을 상호 비교해 보면, 우리가 당시의 문학 장, 정치 장을 기억하면서 편리한 재구의 관점으로 썼던 이분법적 대립(좌우 대립, 임정/인공파 대립, 순수/정치참여 대립)등이 모두 상당히 불분명한 경계선을 가지고 존재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김송의 작품들은 그가 참여했던 매체의 이념들이 그러한 경계의 중간지점에 위치해 있었다는 것을 더욱 확실히 보여주면서, 그 이분법의 균열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 역할을 해준다. 후대의 연구자는 발표지면을 제공했던 정기간행물의 매체이념을 통해서 김송의 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을 얻을 수도 있지만, 김송의 작품을 통해서 역동적이고 유동적인 매체이념을 구체적으로 재구하는 자료를 확보할 수도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 of the media-ideologies of < Baek-min >/< Jayu-munhak > and the short stories of Song Kim. The media-ideology tend to be refracted and changed in the texts in the literary magazines. Song Kim took a major role in publishing these two magazines in 1945~1960, and at the same time he inserted his short stories in the magazines as a writer. This fact make him and his works good examples of the relation between media ideology and inserted (literary) text in magazines. This study proved 3 theories: 1) The short stories of Song Kim and his publishing act were related to each other; He tried to use his stories as practices of the media-ideologies of his magazines. 2) The shared memories of these magazines were distorted by remembrance of Song Kim himself and literary people at the period, which was revealed by comparison of the media- ideologies and his stories of the magazines. 3) Song Kim had an aspect of activist, and because of that his writing and philosophy of literature were influenced by literal discourse of other ideologues of the magazines.

1. 서론
2. <백민>과 김송의 소설 - 좌우 합작 방안의 모색과 결렬의 흔적
3. 후기 <백민>과 김송의 소설 - `순수문학`에의 경도와 이분법적 `좌우대립`의 도입
4. <자유문학>과 김송의 소설 - 전후 우파 문학의 양분과 문학의 실천성/시사성의 문제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