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30
3.144.113.30
close menu
KCI 등재
주민참여예산제도 조례유형에 따른 정책확산 연구
A Study on Policy Diffusion in Participatory Budgeting Types
김선형 ( Sunhyoung Kim ) , 유란희 ( Lanhee Ryu )
정부학연구 23권 2호 225-255(3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724510

본 논문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정을 공간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주민 참여예산제도의 도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시민단체·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인 성향, 지 방정부의 재정능력과 같은 내·외부 환경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이나 사례연구에만 초점이 맞춰진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주민참여예산제도가 기초지방자치단체단위의 정책인 만큼 확산양상을 지역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진행하였다. 정책확산 이론의 수평적 확산에 근거하여, 231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처음 도입된 2004년, 중앙정부 차원에서 표준조례안을 만들어 도입을 권고하였던 2007년, 운영조례안의 의무도입을 추진하였던 2011년, 그리고 최근의 시기까지 구분하여 확산의 과정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공간분석을 통해 주민참여예산제도 확산의 4시기를 구분해 본 결과, 각각의 사례에서 수평적 확산과 더불어 내부적인 요인으로 정치적·재정적인 역량이 다양하게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citizen participation has been conducted in many boroughs since 2003. It was first practiced in Buk-gu, Gwanju. The program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since that time in both academia and the private sector. The impact of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ory budgeting processes has been widely studied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South Korea.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effects of external factors in the adoption of participatory budgeting processes. This study examines the substantial impact of Breadth and Depth of Diffusion on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ory budgeting processes. Numerous large data sets from 231 local governments were gathered covering a time range from 2004 to 2014. Policy diffusion theory and spatial analysis were employed to obtain the result.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Participatory Budgeting by periods of the participatory and participatory levels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We have reviewed the participatory budgeting operation ordinances, operating plans and operating systems of 231 local governments. And the participatory budgeting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Using spatial analysis to examine the allocation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into four periods, we found that, in each case, political and financial capacities affected the process. We attributed the result to internal factors and the breadth diffusion. These factors impacted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의 설계
Ⅳ. 주민참여예산제도 조례유형 확산의 탐색적 공간분석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