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88.249
18.191.88.249
close menu
KCI 등재
지속가능발전과 적정교육을 위한 생태주의 언어교육의 탐색
Exploring Ecological Language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ropriate Pedagogy
신동일 ( Dongil Shin ) , 서예진 ( Yejin Seo )
UCI I410-ECN-0102-2018-300-000732443

지속가능발전목표 의제에 UN 회원국으로서 찬성한 한국은 2000년 6월에 정부 차원에서 `새천년 국가환경` 비전을 선언하였고, 적정기술 역시 `한국의 건강한 발전과 국제사회 기여의 수단`이라고 명명하여 지속가능발전에 대해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지속가능발전 법을 제정하는 등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을 추진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이 여전히 모호하고 쟁점적이란 학술문헌을 주목하면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논의를 언어와 교육의 영역에서 다뤄보기로 한다. 또한 지속가능발전 담론과 유사한 논점을 담고 있는 적정기술, 적정교육의 문헌을 탐색한 후에 생태주의 언어교육관으로부터 지속가능발전 및 적정교육의 정책적 실행을 돕는 이론적 토대를 탐구했다. 본 연구는 국가기관 혹은 사회단체가 주도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 혹은 적정성 기반의 교육이 각론 (교과교육) 수준에서는 실제 적용방안이 모호하며 무엇보다 대안적 교육담론으로 확장되기 위해서 이론적 토대가 시급히 모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언어교육 분야로 폭을 좁혀서 지속가능발전과 적정교육을 타당화시킬 수 있는 인식론적 틀을 생태주의 교육론의 논점으로부터 다뤄보았다. 지금 시대를 환경의 위기 뿐 아니라 인간의 위기로 바라보고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실행시키고자 한다면,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발전의 위기를 지속가능발전의 대안담론으로 모면하려면 인간과 사회,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을 재고하거나,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생태친화적 환경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또한 방글라데시아 EIA 언어계획 프로젝트의 사례처럼 낙후된 지역과 국가에 적정교육을 실행시키는 것 역시 획일적이고 보편적인 발전 논리보다는 목표 지역이나 학습자의 개별문화나 교육환경을 적정 수준으로 재해석했을 때 성공할 수 있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언어정책/계획이 생태적 교육사회환경을 충분히 재고할 때만 적정교육안이 지역이나 국가 단위에서 유의미하게 실행될 수 있다.

This paper begins with an incident in which the UN announced language as a key element in achieving the next 15 years of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nounced in September 2015 at the United Nations, for example, the 17 goals of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argeted various fields from education to technology to preserve the environment and bring economic growth. In order to find how language can practically work as a too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in-dept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needs to be explored. In this study, the previous literature was researched firstly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econdly on the related `appropriate technology/ pedagogy`. Then ecological approaches of language education were suggest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ropriate language pedagogy. In an ecological model, language education is seen as a process which is part of and closely interrelated with a large range of natural and cultural ecological factors. It can be focused on the question of maintaining a diversity of language by seeking to identify those ecological factors that keep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ropriate pedagogy. It was also discussed how ecological language models differ from conventional approaches to language education. Possible areas of further research was also discussed.

I. 서론
Ⅱ. 지속가능한 발전과 교육
Ⅲ. 적정기술과 적정언어교육
Ⅳ. 지속가능발전과 적정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 탐색: 생태주의 담론
Ⅴ. 제언과 성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