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8.241
3.133.108.241
close menu
KCI 등재
시각적 형태 인지에 관한 감성 연구 - 성별 차에 따른 기하도형 형태의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ffectivity of Recognition of Visual Patterns - Focused on an Analysis of Affectivity of Patterns of Geometrical Figures according to Sexual Difference -
김세미 ( Kim Se-mi ) , 손원준 ( Son Won Jun )
한국디자인포럼 56권 17-26(10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735367

연구배경 현재 디자인의 흐름은 개인의 감성적 만족을 지향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개인의 차이를 이해하고 사용자의 감성적 특성을 세분화하여 디자인하는 것은 더욱 중요한 사항이 되었으며, 이에 따른 감성 디자인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디자인에서 형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하도형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을 성별 차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감성 디자인의 방법론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또한 시각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건축·패션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에서 감성적 형태의 디자인 계획수립 시에 성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하도형 13종을 선정하여 성별에 따른 기하도형 형태의 감성차를 SD법으로 실험하였다. 성별에 따른 주성분의 차이점 및 기하도형의 형태적 속성과 성별에 따른 감성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기하도형 형태 인지의 감성차이는 주성분 분석, 기하도형의 형태적 속성, 조형적 특성에 따라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긍정적인 감정 및 부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형태를 발견하였다. 또한 인간의 감성과 형태인지심리는 연관성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감성적 디자인 형태계획을 수립하고자 할 때 전략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점점 더 다양화 되어지는 개인의 감성 만족을 세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형태인지심리와 감성의 관계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시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he contemporary design tends to promote individuals` affective satisfaction.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design, understanding each individual`s difference and subdividing us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researching affective design according to users` types has recently been conducted much.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study meant to analyze users` affectivity about geometrical figures basic for design patterns, according to sexual differ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about methodology-based customized affective design for users, and present specific and distinct directions to plan and apply affective design in multi-spheres of product and architectural design as well as visual desig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ex. Methods This study selected 13 kind of geometrical figures to test affective differences from sex in patterns of geometrical figures, through SD techniques. Subsequently, this considered the differences from sex in the major property, morphological attributes and affective association of geometrical figures, and then drew the results. Result It is shown that there are affective differences from sex in recognition of patterns of geometrical figur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major property, morphological attributes and modeling characteristics of geometrical figures, and that humans` affectivity and psychology of pattern recognition have correlation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directions for planning patterns of affective design would be presented and this would contribute to subdividing individuals` affective satisfaction.

1. 서론
2. 관련 선행 연구
3. 기하도형 형태의 감성 평가 실험 및 분석
4. 고찰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