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29.253
3.149.229.253
close menu
KCI 등재
조기 디자인 교육의 선진화된 교육 사례와 디자인 뮤지엄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고찰
Case Study of Early Design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and Design Museum`s Design Education Programs
이현경 ( Lee Hyun-kyung )
UCI I410-ECN-0102-2018-600-000735372

연구배경 디자인이 핵심 경쟁력인 시대가 됨에 따라 각국가에서는 미래 디자인 분야를 이끌어 갈 인재 육성 및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활성화 시키는데 힘쓰고 있다. 국내에서도 7차 교육과정의 도입과 더불어 디자인 교육의 촉진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가시적 성과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기 디자인 교육의 선진화된 교육 사례를 통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디자인 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설계 및 전략 적인 측면에서 조기 디자인 교육의 모범 사례는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사례 연구에 기초한 정성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설계 및 전략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이해하기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접근법을 사용할 것이다. 연구결과 영국과 미국의 디자인 교육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바탕으로 조기 교육부터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둘째, 디자인은 그 자체의 독립적 분야가 아님을 인식시키고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적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미술관의 활용 또는 연계를 통하여 교육 방법의 다양성을 보장한다는 점이다. 결론 국내 디자인 교육은 우선 순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분야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한 디자인 교육 접근 방식 및 다양한 교육 방법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As the design becomes a core competency, each country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ng and fostering talented people who will lead the design field in the future and has been committed to activate it.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 there is continuous effort to promote design education, but there is no visible outcome.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design education with successful design education cases. Methods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case study. The research question posed in this study is: What are the best practices of the early age design education in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as advance countries in relations to its structure and strategies.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to make sense of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Data collection of document analysis was used primarily. Result The UK and United States have the following common points in design education. First of all, early education is based on national support. Second, it encourages students to realize that design is not independent field of their own and induce them to think creatively in a variety of fields. Finally, it guarantees the diversity of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design museums and its connections. Conclusion Domestic design education needs to clarity the boundaries of fine art and design. It also requires efforts to explor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design education for various field and to explore a variety of training methods.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영국 디자인 뮤지엄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4. 미국 디자인 뮤지엄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5.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