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24.232
3.144.124.232
close menu
KCI 등재
중고령자에서의 건강행위 군집과 건강결과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in Middle-aged Persons
이은환 ( Eun-whan Lee ) , 유빛나 ( Bit-na Yoo ) , 김욱 ( Wook Kim ) , 김희선 ( Hee-sun Kim )
UCI I410-ECN-0102-2018-500-000709737

연구목적 : 이 연구는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노년기를 바로 앞든 중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건강행태 군집 유형을 분류하고, 유사 건강행위 군집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 여부를 표준화하고 이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수동적 태도군, 적극적 태도군, 흡연군, 음주군, 건강염려군, 건강무관심군 등 총 6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 수동적 태도군은 흡연/음주/운동 점수가 모두 낮은 군이었고, 적극적 태도군은 흡연/음주는 낮고 운동 점수는 높았다. 흡연군은 음주/운동은 낮고, 흡연 점수가 높았고, 음주군은 흡연/운동 점수는 낮고 음주 점수가 높은 군이었다. 건강염려군은 흡연/음주 점수가 높으면서 운동 점수 또한 높았고, 건강무관심군은 흡연/음주 점수가 높고 운동 점수는 낮은 군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개별 건강행태들이 분절적이 아닌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이를 종합한 포괄적 지표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다양한 중고령층의 특성을 반영하여 군집을 분류하였고, 그 결과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의 군집 특성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건강한 노년을 위한 중고령층의 건강위험행위 중재 정책에 있어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focuses on the types of health-related behavior clusters in middle-aged persons and examines the nature of each clus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usters, and health-related outcomes. Methods :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on standardized item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Results :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we categorized the items into the following clusters: passive attitude cluster, active attitude cluster, smoking cluster, drinking cluster, health anxiety cluster, and health indifference cluster. Conclusion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conducting exploratory research on clustering health behaviors an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ronic disease status. Especially, we foun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different aspect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at were conducted in all ages. This study can be valuable information to serve as a foundational source for mediating middle-aged persons` health risk facto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