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222.47
18.221.222.47
close menu
KCI 등재
지역별 대기오염물질(PM10, O3, CO)이 호흡기질환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f Effects of Regional Air Pollutants(PM10, O3, CO) on Respiratory Disease
박재우 ( Jae-woo Park ) , 황병덕 ( Byung-deog Hwang )
UCI I410-ECN-0102-2018-500-000709757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기오염 증가에 따른 건강손실에 대한 통계적 예측모형의 구축으로 건강위해성을 규명하고, 전국을 대상으로 권역별로 나우어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2∼2013년의 12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PM10, O3, CO 3가지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변화가 호흡기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 전국을 4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환경적 특성에 따른 지역별 영향력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PM10 월평균 농도는 전국에서 1㎍/㎥ 증가 당 약 2.4%의 월평균 호흡기질환 유병건수의 상승을 나타냈다. 4개 권역별로 나누어 보면 수도권에서는 PM10 월평균 농도 1㎍/㎥ 증가 당 약 3.0%, 충청도권은 약 1.2%, 전라도권은 약 0.4%, 경상도권은 약 1.6%의 월평균 호흡기질환 유병건수의 상승을 보였다. O3 월평균 농도는 전국에서 0.001ppm 증가 당 약 4.0%의 월평균 호흡기질환 유병건수의 상승을 나타냈다. 4개 권역별로 나누어 보면 수도권에서는 O3 월평균 농도 0.001ppm 증가 당 약 3.0%, 전라도권은 약 1.0%, 경상도권은 약 2.5%의 월평균 호흡기질환 유병건수의 상승을 보였다. CO 월평균 농도는 전국에서 0.01ppm 증가 당 약 0.6%의 월평균 호흡기질환 유병건수의 상승을 나타냈다. 4개 권역별로 나누어 보면 수도권에서는 CO 월평균 농도 0.01ppm 증가 당 약 3.0%, 충청도권 약 1.6%, 전라도권 약 0.8%, 경상도권 약 1.8%의 월평균 호흡기질환 유병건수의 상승을 보였다. 결론 : 전반적으로 대기오염 물질들의 농도 상승에 따라 호흡기계 질환 유병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권역별 특성에 따라 각 대기오염 물질들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향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 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연구에서 PM2.5 및 기타 관련 요인의 보다 정밀한 자료 구축을 통한 대기오염 환경 예측 모형 구축에 대한 결과의 제시를 제안한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atistical prediction model for health damage caused by increased air pollution. Methods : Data used in this study span 12 years from 2002 to 2013, and cover the entire country. The impact of changing concentration levels of 3 air pollutants PM10, O3, and CO on respiratory disease was investigated. The country was divided into 4 regions, and the effects on each reg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one another for analysis. Results : In terms of PM10, the monthly average prevalence of respiratory disease increased by about 2.4% for each 1㎍/㎥ increase of monthly average PM10 concentration level over the country. Considering the prevalence by region, the Seoul Capital Area Sudogwon saw an increased prevalence of respiratory disease by about 3.0%, Chungcheong region by about 1.2%, Jeolla region by about 0.4%, and Gyeongsang region by about 1.6% per 1㎍/㎥ of monthly PM10 increase. As for the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 of O3, the prevalence of respiratory disease increased by about 4.0% for each 0.001ppm increase across the country. By region, the monthly average prevalence of respiratory disease increased by about 3.0% in Sudogwon, by about 1.0% in Jeolla region, and by about 2.5% in Gyeongsang region for each 0.001ppm increase of the monthly average O3 concentration. The monthly average prevalence of respiratory disease increased by about 0.6% across the country for each 0.01ppm increase of monthly average CO concentration. By region, it increased by about 3.0% in Sudogwon, by about 1.6% in Chungcheong region, by about 0.8% in Jeolla region, and about 1.8% in Gyeongsang region for each 0.01ppm increase of monthly average CO concentration. Conclusions : In general, the prevalence of respiratory disease demonstrated an increasing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The effect of each air pollutant var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ir pollution standards which take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