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3.150
3.16.83.150
close menu
KCI 등재
『개벽』의 `문화` 관련 기사를 통해 본 천도교의 문화관
A Perspective on Culture of Cheondokyo Viewed through Articles Related to `Culture` in GaeByeok
송인재 ( Song In Jae )
시대와 철학 28권 3호 161-198(38pages)
UCI I410-ECN-0102-2018-100-000702185

이 글은 1920년대 『개벽』 기사 코퍼스 분석을 통해 당시 `문화`의 의미와 맥락을 관찰한다. 궁극적으로 1920년대 천도교 집단이 수행한 문화운동의 내면을 관찰한다. 1920년대 『개벽』에서 `문화`는 다른 시기에 비해 동양, 서양, 운동 등과 같이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 이는 문화가 다른 시기에 비해 운동이라는 사회적 행위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었음을 보여준다. 당시 천도교 집단은 일본으로부터 개조주의, 인격주의와 연관된 문화주의를 수용하면서 동학/천도교의 역사에서 개벽에서 개조로, 인내천에서 인격주의로의 전환을 이루었다. 문화가 그 전환의 매개였다. 자연을 개조하는 인간의 능동적 행위이자 성과로서 인간의 속성을 대변하는 개념이 바로 문화라고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문화는 개화, 문명과 함께 새로운 사회로의 지향을 표상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이로써 문화가 사전적 의미로 이해되는 것을 넘어서 역사적 과제를 실현하는 개념으로 기능했다. 구체적 담론에서는 중국의 신문화운동에서 영향을 받은 동서문화론과 유교에 대한 강렬한 비판의식을 담은 신구문화론이 논의를 주도했다. 여기서 개조의 대상은 유교가 주도하던 기존의 낡은 동양문화였고 본받아야 할 대상은 서양문화였다. 새로운 조선을 만들 중심역량으로는 청년이 제시되었다. 신문화운동을 주도한 이돈화는 조선의 신문화 건설을 위한 구상을 제시했다. 한편 새로운 문화를 추구하는 이면에는 종교적 뿌리인 동학에 대한 시선도 놓지 않았다. 천도교의 문화관에는 천도교 집단이 문화를 매개로 새로운 조선을 만들어야한다는 시대적 사명을 다하고자 한 노력이 담겨 있다.

The basic method of this article is corpus analysis on the articles related to keyword `culture` in GaeByeok, the Cheondokyo journal. The main values is the frequency of keyword and co-occurrence, purpose is understanding meanings of culture and context, observing the inside of cultural movement of Cheondokyo in 1920s. Corpus analysis presented that the most co-occurred with `culture` were East, West, Movement. It means that the relation with culture and movement was stronger than another times. At that time members of Chendokyo accepted reformism, personalism and culturalism from Japan and constructed the linage that is from Gaebyeok to reforming, the thought of human is heaven to personalism. The concept of culture was the mediation of the linage. Culture is understood to represent man`s attributes as an active act and achievement of man who reconfigures nature. Furthermore, culture was understood as a concept representing the orientation toward a new society along with flowering and civilization. This has served as a concept to realize the historical task beyond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in the dictionary meaning. In the specific discourse, the theory of East and West culture influenced by China`s New Cultural Movement and the discourse of old and new culture which led to intense criticism of Confucianism led the discussion. The object of the reconstruction was the old Eastern culture which was led by Confucianism. Koreans was described as practician. A young man who learned new learning from abroad was noted as the protagonist of the reconstruction Lee Don-hwa, who led the New Culture Movement, presented a rough idea for constructing the New Culture of Korea.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leave a gaze to Donghak, a religious root, behind pursuing a new culture. Cultural articles in GaeByeok show the efforts of the Cheondokyo community to fulfill its social mission through the culture.

1. 서론
2. `문화` 관련 기사 코퍼스 분석
3. 문화의 개념과 시대적 맥락
4. 동서문화와 신구문화, 그리고 조선문화
5. 조선 신문화 건설의 지향
6. 나오며
참고문헌
부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