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82.167
13.59.82.167
close menu
KCI 등재
토픽 모델링에 따른 고등학생 논설문의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of Coherence and Cohesion in High School Students` Essays through Topic Modeling
이슬기 ( Lee Seulki )
UCI I410-ECN-0102-2018-700-000702658

이 연구의 목적은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산출한 고등학생 논설문의 응결성 지수와 응집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응결성 측정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응결성을 국지적, 포괄적, 글 전체 응집성으로 세분한 후 토픽 유사도로 응결 지수를 분석하였고, 결과 값을 교사 채점자들의 응집성 점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국지적 응결성 지수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는데, 문장 간의 유사도가 높은 글을 교사 평가자들은 내용 생성의 어려움을 겪는 글로 평가했다. 포괄적 응결성 지수는 교사 채점 결과와 유의하지 않았고, 글 전체 응결성 지수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교사 채점자가 인식하는 응집성 수준에 따라 글 전체에 드러나는 토픽의 유사도에 특정한 경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 응집성은 글 전체의 응결성과 유관하고, 토픽 모델링이 글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는 타당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the method used to measure coherence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hesion scores and the coherence of student texts calculated using topic modeling. For this purpose, cohesion through topic similarity was categorized into local, global, and overall text coherence. Next,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eacher-generated coherence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local cohe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oherence scores. Global cohes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achers` grading results, and overall text cohe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study shows that coherence is related to the consistency of the whole text and that topic modeling can be a useful tool for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text.

I. 머리말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