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48.135
3.144.48.135
close menu
KCI 등재
고전소설 속 도적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The Imagery Aspect and Its Meaning of a Thief in a Classic Novel
유귀영 ( Yu Gwi-yeong )
어문론총 73권 89-112(2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703436

조선후기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던 시기이다. 농업생산력의 발전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은 토지의 소유와 경영을 둘러싼 농민층 분해를 가속화시켜 가난한 농민들은 몰락해 갔으며, 군역의 부담은 농민층의 유망을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많은 유망민(流亡民)이 발생하게 된다. 그들은 걸인(乞人), 화전민, 유랑예인 등의 모습으로 존재하게 되는데, 그 가운데서 가장 저항성을 강하게 띠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존재들이 바로`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도적이 고전소설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어 있고, 그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먼저 고전소설 속 도적의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불합리를 개선하기 위해 민중적 영웅이 등장하였는데, 홍길동과 전우치가 이에 속한다. 그리고 유망민으로서 가지고 있었던 욕망을 추구하는 인물로 활빈당 군도, 변산 군도, 서해무릉 군도 등이 있었다. 이러한 인물들을 분석한 후 고전소설 속 도적의 형상화 양상에 내포된 의미를 도출해 보았다. 먼저 홍길동, 전우치는 봉건 지배 질서에 대해 저항을 하기는 하지만 그 한계점도 동시에 표출되고 있었다. 그리고 활빈당 군도, 변산 군도, 서해무릉 군도의 개인적 욕망은 현실 생활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군도의 소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도적의 존재가 고전소설에서 나타나는 모습을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의미를 도출해 보았는데, 이러한 연구는 조선후기를 살아갔던 인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late Joseon period is the one that experienced many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aspect. The development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 growth in commodity money economy accelerated the differentiation of peasantry surrounding the ownership and the management in land, thereby having led to a collapse in poor farmers. The burden of military service plays a role of speeding up wandering in the farming population. These nomadic people may be called `Yumangmin(流亡民).` They come to exist with the images of beggar(乞人), slash-and-burn farmers, and nomadic entertainers. The existences, who had become a social issue with having the strongest resistibility out of it, can be said to be just `thief.`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s how this thief is embodied in a classic novel and what a social meaning is that can be examined through it. First of all, the imagery aspect of a thief in a classic novel will be figured out. It inspects by dividing it into the works of showing the aspect of positive resistance for the system reform, the works of indicating a breakaway from a system for the maintenance of livelihood, and the works of pursuing a desire for achieving the personal affection. This will lead to eliciting a meaning that is contained in the imagery aspect of a thief in a classic novel. In the aspect of resistance to and breakaway from the current system, the challenging spirit to the feudal dominant order was seen. A failure in this resistance can lead to knowing that reality and romance according to a problem-solving method are being reveal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an be drawn a social meaning according to it with diversely embodying the aspect that the existence of a thief in the late Joseon period is revealed in a classic novel. This can be concluded to have been an opportunity available for knowing that the aspect of Yumangmin(流亡民), which had rapidly grown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various, and that even a sight of looking at these people is not simple.

1. 서론
2. 고전소설 속 도적의 형상화 양상
3. 고전소설 속 도적의 형상화 양상에 내포된 의미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