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00.211
3.135.200.211
close menu
KCI 등재
노인가구의 연령별 주거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by Age Groups
남궁미 ( Mi Namgung ) , 최희용 ( Hee Yong Choi ) , 전희정 ( Hee-jung Jun )
UCI I410-ECN-0102-2018-300-000695170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가구의 증가로 주거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주거환경은 은퇴이후 노인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주된 삶의 터전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가구의 연령별 주거만족도 차이와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하여 파악하여 노인가구의 주거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 주거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가구를 연령에 따라 장년가구(55세-64세), 전기 노인가구(65세-74세), 후기 노인가구(75세 이상)로 세분화하고, 비노인가구와의 비교를 위해 청년가구(19세-54세)를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노인가구의 주거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가구의 경우,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뿐만 아니라 집주변 소음상태를 제외한 모든 주거환경 구성요소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주거환경 요소들은 노인가구의 연령별에 따라 다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가구의 경우 의료시설 근접성, 전기 노인가구의 경우 학교 및 학원 등 교육환경, 장년가구와 후기노인가구의 경우 미취학 자녀보육 환경이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가구의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by age group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he 2012 Korea Housing Survey data, we splitted the respondents into four groups-the young(between 19 and 54 years old), the pre-elderly(between 55 and 64 years old), the elderly (between 65 and 74 years old), and the older-elderly (75 years and older). Then, we compared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y age groups.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older-elderly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s as well as neighborhood attributes.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vary by age group. Access to healthcare facilities is more important for the older-elderly than for pre-elderly and the elderly. Natural environment and childcare/educational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on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all age groups.

Ⅰ. 서론
Ⅱ. 선행연구검토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