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53.38
18.117.153.38
close menu
KCI 등재
정부의 위험유형별 관리능력과 정부신뢰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소득계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s Management Capabilities by Risk Types and Government Trus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come Classes
이하영 ( Hayoung Lee ) , 이수영 ( Sooyoung Lee )
UCI I410-ECN-0102-2018-300-000695221

오늘날 위험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국민들의 기본적인 안전과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효과적인 위험관리가 정부의 핵심적인 책임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발생한 국정농단 및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사건(정치위험)에서부터 동남부 지진(재해위험), 메르스 사태(건강위험), 고령화에 따른 노후불안(생애주기위험), 실업과 빈곤, 저성장문제(경제위험)에 이르기까지 위험에 대한 정부의 미흡한 대처가 반복되면서 사회 전반에 정부불신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정부의 위험관리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나, 정부와 국민의 관계, 특히 정부신뢰에 주목하여 위험사회 및 위험관리 문제에 접근하는 연구는 상당히 드물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정부의 위험관리능력이 국민들의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및 소득계층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논의의 공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정치위험관리능력, 경제위험관리능력, 건강위험관리능력은 소득계층에 관계없이 정부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해위험관리능력과 생애주기위험관리능력은 저소득층에서만 정부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해위험과 생애주기위험의 경우 소득수준이 국민들의 위험에 대한 취약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특히 두드러짐을 의미하며, 위험사회 하에서 정부신뢰의 회복을 위해서는 재해위험 및 생애주기위험에 대한 저소득층의 취약성을 완화하고, 국민으로서 보장받아야 할 기본적인 안전과 생활이 위협받지 않도록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재해위험 및 생애주기위험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소득계층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정치위험, 경제위험, 건강위험의 경우 저소득층에 한하여 높은 취약성을 보이는 문제라기보다,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공유되는 보편적인 공적문제로서의 성격이 강한바, 정부의 위험관리능력을 강화하고, 이에 대한 국민들의 주관적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정부신뢰를 회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overnment`s risk management capabilities on the trust in government and moderate effect of income classes. The results showed that government`s capabilities to manage politic risks, economy risks, health risks has a positive effects on the trust in government regardless of income classes and government`s capabilities to manage disaster risks, life-cycle risks only affects the trust in government of the low-income clas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income level on the vulnerability to risk is more noticeable in the low-income class and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the disaster and life-cycle risk management ensuring the fundamental safety and living standards for the low-income class to regain trust in a risk society. On the other hand, politic risks, economy risks, and health risks are shared with all members of society and government needs to improve overall social perception on government by improving government`s capabilities to manage politic risks, economy risks, health risk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