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0.56
18.188.20.56
close menu
KCI 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Major Projects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Utilizing Big Data Analysis
변승연 ( Seung-yeon Byun ) , 구자춘 ( Ja-choon Koo ) , 석현덕 ( Hyun-deok Seok )
DOI 10.14578/jkfs.2017.106.3.340
UCI I410-ECN-0102-2018-500-000692660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공급부문의 네트워크 구조는 수요 부문보다 방사형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 이외에 다양한 주제어가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7대 대표사업들을 대응한 33개 주제어에 대해 수요부문과 공급부문의 기울기를 비교한 결과,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이 감소하는 주제어의 개수는 7개로 지속가능, 산림경영, 산림생물, 산림보호, 산림병해충, 도시숲, 북한이 해당되었다. 이들 주제어는 수요와 공급의 간극이 확인된 만큼, 제6차 기본계획에서는 이들 주제어에 대한 공급 강화가 필요하며, 자유게시판 분석을 통하여 신규 임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강화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forest policy by year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macroscopic evaluation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We collected unstructured data based on keywords related to the projects mentioned in the news, SNS and so on in the relevant year for the policy demand side; and based o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or the policy supply sid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specified the network structure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and identified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the Korea Forest Service`s policies by comparing the network of the demand side and that of the supply side.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etwork of the supply side is less radial than that of the demand side, implying that various keywords other than forest could considerably influence on the network. Also we compared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for 33 keywords related to 27 major pro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7 keywords shows increasing demand but decreasing supply: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forest biota, forest protection, forest disease and pest, urban forest, and North Korea. Since the supply-demand gap is confirmed for the 7 keyword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orest policy regarding the 7 keywords in the 6th Basic Plan.

서 론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빅데이터 분석 결과
요약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