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6.154.103
3.136.154.103
close menu
KCI 등재
무인항공 영상을 활용한 도심녹지 표면온도 특성 분석 - 익산 소라산 자연마당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Surface Temperature on Urban Green Sp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 A Case of Sorasan Mt. Nature Garden, Iksan, South Korea -
최태영 ( Tae-young Choi ) , 문호경 ( Ho-gyeong Moon ) , 차재규 ( Jae-gyu Cha )
DOI 10.11108/kagis.2017.20.3.090
UCI I410-ECN-0102-2018-500-000693834

본 연구는 도심온도 저감을 위한 녹지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름철 고온 시간대에 도심녹지에서 나타나는 표면온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시 내 고립된 녹지인 익산 소라산 자연마당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UAV 영상을 활용하여 정밀한 표면온도 자료를 취득하였고, 피복유형, 식생유형, 수종유형, 수종별 녹지용적과 표면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피복유형 중 습지와 산림은 저온역, 포장지는 표면온도가 월등히 높은 고온역으로 확인되었다. 식생유형에서는 산림 내 침엽수보다 활엽수의 표면온도가 낮았고, 조경수식재지 내에선 활엽수보다 침엽수의 표면온도가 낮은 반대의 결과가 확인되었다. 장초지보다 단초지의 표면온도가 높아 초지의 용적에 따른 온도차이가 확인되었다. 산림수종유형별 표면온도는 침엽수인 소나무림보다 활엽수인 아까시나무림과 활엽수혼효림의 표면온도가 낮았고, 활엽수혼효림과 아까시나무림간의 미세한 표면온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산림수종유형별 녹지용적과 표면온도 분석결과 소나무림과 활엽수혼효림에서는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녹지용적 증가에 따라 표면온도가 감소하는 음의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아까시나무림은 용적의 증가에 따라 미세하게 표면온도가 상승하는 약한 양의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수종에 따라서는 용적과 온도의 일관된 상관성에 예외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침엽수와 활엽수간 차이, 용적과 온도의 관계, 수종별 차이 등 녹지의 세부적 속성과 온도의 관계에 관하여 정밀한 공간자료를 활용한 다각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urfac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urban green spaces under high summer temperatures to clarify the functions of green spaces in reducing urban temperatures. We obtained accurate surface temperature data using highresolution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of the survey site, which was an isolated green space in the city. We analyzed differences in the surface temperature by land cover type, vegetation type, species typ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temperature and vegetation volume. Based on the results, among the land cover types, wetlands and forests had low temperatures and paving areas had very high temperatures. Regarding vegetation type, broad-leaved trees had lower temperatures than coniferous trees in forests. However, in planted areas, coniferous trees had lower temperatures than broad-leaved trees. The temperature of long grass was higher than that of short grass, which suggested that the volume of grass affected the temperature. Regarding forest species type, the temperature of broad-leaved Robinia pseudoacacia forest and mixed broad-leaved forest was lower than coniferous Pinus densiflora fores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R. pseudoacacia forest and mixed broad-leaved fore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volume and temperature by forest species type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where the temperature decreased with increasing vegetation volume, similar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we foun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in R. pseudoacacia forest; therefore, an increase in volume may not reduce the surface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dominant species.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