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5.15
18.221.15.15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실과 수업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from the practical art lesson using social story
이권재 ( Lee Kwon-jae ) , 임경원 ( Lim Kyoung-won )
DOI 10.23944/Jsers.2017.09.56.3.4
UCI I410-ECN-0102-2018-300-000687994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정서장애 특수학교에서 사회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실과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채택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수업을 관찰하고 조언해줄 4명의 수업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수업은 총 5차시를 실시하였고, 수업 실행, 관찰, 협의 및 반성, 그리고 개선된 수업을 실행하는 순환 과정에서 나타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인 읽기와 분석적 메모를 추출하는 개방적 코딩방법을 사용하여 의미단위를 하위범주와 상위 범주로 분류하였고, 최종으로 도출된 자료는 삼각검증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사회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실과 수업에서 얻게 된 연구 결과는‘교사, 수업에서 사회상황이 야기를 만나다’, ‘수업, 준비부터 평가까지’, ‘수업 지킴이; 좌(左)환경, 우(右)자료!’의 3개 상위범주와 11개 하위범주, 39개의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해 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실과 수업은 장애학생의 관심을 높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둘째, 특수교사는 수업을 설계할 때, 수업 내용선정에서부터 수업평가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꼼꼼히 체크해야 하며, 학생 중심의 수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특수교사는 교육환경 조성과 수업자료 준비에 대하여 충분한 지식과 이해를 갖추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practical knowledg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uld acquire in a process of giving Practical Art lessons based on social stories at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emotional disorders. For that purpose, the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action research.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four lesson experts to observe the investigator's lessons as a teacher and provide her with advice. Total five lessons were given, and all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yclic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a lesson, observation, consultation and ref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improved lesson.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repetitive reading and open coding to identify analytical memos. The meaning units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ategories. The final data were tested in triangulation to secure their truthfulness. There were total three upper categories of findings generated from the elementary Practical Art lessons based on social stories, and they were "the teacher, encountering a social story in a lesson," "a lesson, from preparation to evaluation," and "a lesson guard with the environment in the left and the data in the right!"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ocial stories-based Practical Art lessons were able to increase the interes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duce them to take voluntary part in. Second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reflect the considerations and the students' needs at each stage from lesson organization, which marks the beginning of a lesson, to evaluation, which marks the conclusion of a lesson. Final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equip themselves with enoug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reparation of lesson materials, which hold significant importance in the organization of lessons.

Ⅰ.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 의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