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87.156
3.133.87.156
close menu
KCI 등재
알프레드 되블린의 「유물론에 관한 동화」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Natur und Mensch in Alfred Doblins Marchen vom Materialismus
조향 ( Jo Hyang )
독어독문학 143권 59-87(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675457

미국 망명 중에 쓴 「유물론에 관한 동화」에서 되블린은 이전의 자연철학적 에세이들과 다른 작품들에서 몰두해 온 자연과 인간의 관계라는 주제를 새롭게 다루고 있다. 이작품이 특이한 점은 유물론이 인간들에게가 아니라 자연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여 주며, 이를 통해 자연의 시각에서 유물론의 모순을 풍자, 비판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은 작품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서로 의존하고 있으면서도 이질적인 두 집단으로 그려진다. 자연은 이 작품에서 전체 서사를 이끌어 가는 행위 주체로 전면에 등장하며, 유기적 자연뿐만 아니라 무기적 자연에 이르기까지 감정, 의지, 사고와 행위의 능력, 심지어는 도덕성까지 지닌 존재로 의인화되어 묘사된다. 이들이 유물론에 반응하여 빚어지는 혼란은 동화라는 장르의 자유 속에서 그로테스크하게 희화화되어 웃음을 자아내며, 자연계의 ‘반란’에서는 자연 법칙과 기존 질서가 무너지고 서로 상반된 것들이 연결되는 과정이 과장되게 표현됨으로써 카니발적인 요소가 나타난다. 다른 한편 인간은 자연계의 이단아이자, 유물론으로 인한 혼란과 소동 후에도 여전히 자신이 자연에 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하지도, 반성적 성찰에 이르지도 못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작가는 동화의 기본 구도를 유지하면서 변형시키고 또한 서로 이질적인 장르와 요소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이 “동화 몽타주”를 프로메테우스적인 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도구적 이성의 비판과 풍자에 적합한 장르로 기능하게 한다.

Charakteristisch fur Alfred Doblins Marchen vom Materialismus ist, dass es sich auf die Auswirkungen des Materialismus nicht auf den Menschen, sondern auf die Natur fokussiert; er wird hierbei aus der Perspektive der Natur zum Gegenstand satirischer Kritik, die ihn schließlich als Ideologie entlarvt, die der Herrschaft uber die Natur dient. Dabei werden Natur und Mensch einander konsequent als zwei Gruppen gegenubergestellt, die aufeinander angewiesen, und dennoch heterogen sind. Als durchgangig handlungsleitender Akteur steht die Natur im Vordergrund, wobei sowohl der organischen als auch der anorganischen Natur Gefuhle, Wille, Fahigkeit zum Denken und Handeln, sogar Moral zugeschrieben werden. Das aus ihren Reaktionen auf den Materialismus ausgeloste Chaos findet, der Freiheit der Gattung Marchen gemaß, seine Darstellung in komischer, grotesker, ja karnevalesker Weise in der hyperbolischen Schilderung des Umsturzes der Naturgesetze sowie der bestehenden Ordnung, wobei gegensatzliche bzw. heterogene Elemente neu kombiniert werden. Dahingegen werden Menschen als Fremdkorper in der Natur karikiert, die auch nach der Katastrophe noch immer nicht dazu fahig sind, ihre Abhangigkeit von der Natur zu erkennen und umzudenken. Der Autor transformiert die Gattung Marchen in eine ‘’Marchenmontage“, die als ein Medium zur Kritik am Anthropozentrismus sowie an der instrumentellen Vernunft fungiert.

Ⅰ. 들어가며
Ⅱ. 프로메테우스적인 시대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유물론’
Ⅲ. 자연과 인간의 관계와 유물론에 대한 자연계의 반응
Ⅳ. “행복한 귀환”: 인간중심주의 비판 및 풍자
Ⅴ. 마치면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