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74.239
3.17.174.239
close menu
KCI 후보
수업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양상과 교사 인식 연구
A Study of Aspects of Teacher’s Conversation during the Class Conclusion Phase and Teachers’ Awareness of It
김주영 ( Kim Jooyoung )
한국어문교육 23권 81-115(35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667238

이 연구는 대화분석과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양상을 살피고 교사의 인식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일반적인 구조는 ‘학습내용 정리하기, 평가하기, 과제 제시하기, 차시 예고하기, 수업 종료하기’이다. 이 구조는 학교급, 교과, 교사, 학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추가, 수정, 대체, 생략되기도 한다. 학습내용 정리하기에서는 학습 활동의 과정 정리하기, 학습 내용의 주요개념 명료화하기의 방법을 사용한다. 평가하기는 수업 중 수행한 평가 활동 상기하기, 자기 평가하기 등을 사용한다. 차시 예고하기는 차시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차시 안내하기, 흥미 유발을 위한 차시 활동 안내하기를 주요 전략으로 사용한다. 수업 종료하기의 주요 전략은 교사의 명시적 수업종료 선언하기, 학교의 인사법에 따른 수업 종료하기 등을 사용한다.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계획과 실행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학생수준 파악의 부족,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의 참여 기회 제공 부족, 정리단계의 시간 부족, 정리단계에서 교사 질문 전략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수업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교육적 의의를 생각할 때, 정리단계의 교수화법은 수업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과 상황을 고려하여 유목적적이고 계획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teachers’ conversation at the class conclusion stage and to check their perception through dialogue analysis and qualitative case study. Generally class conclusion phase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order: organizing the learned contents, evaluating them, presenting the tasks, previewing the next lesson, and ending the lesson. This structure may be added, modified, substituted, or omit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chool levels, subjects, teachers, or student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classroom conclusion phase lies in teachers’failure to grasp student levels, lack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when learning, lack of time in the conclusion phase, and teachers’ lack of question strategies. Given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teacher’s conversation during the class conclusion phase should be carried out in a purposeful and deliberate manner,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and situations in class.

1. 들어가며
2. 수업과 정리단계의 교수화법
3. 연구 방법
4.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양상과 교사 인식
5.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