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73.165
3.17.173.165
close menu
KCI 등재
제품디자인전공 학과의 소재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소재교육 특성 및 방법제안
The Characteristics and Proposal for Materi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Material Education in Product Design Major
임효선(제1) ( Lim Hyo Seon ) , 임효선(교신) ( Lim Hyo Seon )
UCI I410-ECN-0102-2018-600-000652070

감성디자인의 등장으로 제품 디자이너들에게 소재의 이해와 활용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다른 전공에 비해 다양한 소재를 다뤄야 하는 제품디자인 분야의 소재교육은 더욱 필요하다. 이에 교육기관에서는 소재 활용능력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소재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나, 제품디자인 분야의 소재교육에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디자인관련 국내 대학의 소재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소재교육의 특성과 학습단계를 도출한 후 소재교육의 특성별 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소재교육 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재교육 학습단계를 도출하기 위해 제품디자인 관련 소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의 소재교육 실시학년, 실시 교과명, 교과운영 목표 등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소재교육 학습단계별 소재교육요소를 추출하였고, 전문가집단을 통해 동질성 분석을 실시하여 소재교육 학습단계 별소재교육 특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된 소재교육의 3단계 학습과정으로 특성별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그 실행방안을 사례 중심의 교육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체계적인 소재교육을 실시하여 소재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The emergence of emotional design requires the product designers to have competence to solve problems through understanding and utilizing materials. Hence the systematic material education is encouraged to be conducted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utilize materials. However, research on material education in the field of product design has been insufficient even though it needs to deal with various materials compared to other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material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related to product design, to establish characteristics of material education, to set up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established, and to suggest material education methods to be used to achieve those goals. In order to derive the procedure of the material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ies where the material education for product design is taught is analyzed. The components taken into account are such as the year of receiving material education, the title of subject, and the goal of the subject. As a result, the components of material education of three different material education procedure is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the material education of each (material education) procedure is derived by the homogeneity analysis conducted by the exper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for experts in this field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materials.

1. 서론
2. 제품디자인 학과의 소재교육 현황
3. 제품디자인 소재교육 특성 및 목표
4. 제품디자인 소재교육 학습 방법 제안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