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5.239
18.191.5.239
close menu
KCI 등재
윤동주 시의 세계 이해 - ‘밤’과 ‘성찰’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World of Poems by Yun Dong-ju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ight’ and ‘reflection’
고봉준 ( Ko Bong-jun )
UCI I410-ECN-0102-2018-800-000646445

윤동주의 시는 오랫동안 민족적 ‘저항시’라는 맥락과 자아의 내면이 투영된 ‘서정시’라는 맥락에서 각 해석되어 왔다. 우리에게 윤동주라는 이름은 저항시의 기호이거나, 서정시의 기호로 간주되었고, 그의 시가 보여준 식민지 치하의 가난과 슬픔, 그것에서 기원하는 부끄러움과 신념에 대한 신앙적 염결성은 근대적 서정시의 전범으로 이해되었다. 최근 들어 윤동주의 문학은 ‘민족’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재해석되고 있으나 그의 시가 보여주는 발화의 양상은 여전히 서정시의 정수로 평가되고 있다. 이 논문은 ‘밤’과 ‘고백’을 중심으로 윤동주 시의 서정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윤동주의 시에는 ‘밤’이라는 시어가 명시적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물론 시간적 배경이 ‘밤’으로 설정된 경우가 상당히 많다. 선행연구들에서 이 ‘밤’은 ‘어둠’과 더불어 부정적 현실 인식이나 비극적 세계관을 가리키는 이미지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윤동주의 시에서 ‘밤’은 식민지 상황에 대한 알레고리로 단순화할 수 없다. 특히 그가 ‘동시’의 세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시작(詩作)을 시작한 1939년 이후에 창작된 작품들에서 ‘밤’은 단순한 시간적 기호가 아니라 ‘밤’이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휴식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경험, 그리하여 ‘시(詩)’를 쓰지 않으면 안 되는 계기로 등장한다. 윤동주의 시에서 ‘밤’은 늘 잠을 자다가 깨거나 잠들지 못하는 불면의 밤이다. 그리고 윤동주의 시는 이 ‘밤’의 도래에 대한 화자의 응답이라고 읽을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그동안 주목되지 못했던 두 편의 산문(「달을 쏘다」와 「별똥 떨어진 데」)을 포함하여, 해석적 다양성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어 온 「또 다른 고향」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을 시도했다. 우리의 경험이 증명하듯이 ‘밤’은 인간의 내밀하고 깊은 부분과 관계 한다. 그것은 빛의 지배를 벗어난 시간이라는 점에서 이성이 아닌 감성, 노동이 아닌 휴식의 시간이다. 이와 달리 윤동주에게 ‘밤’은 무엇보다도 성찰과 고백의 시간이었으니, 이는 그의 글쓰기가 ‘밤’과 더불어 시작된다는 의미인 동시에 그에게 ‘시’는 곧 성찰과 고백 행위였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윤동주에게 있어서 ‘밤’과 ‘시’, 그리고 서정시적 고백과 성찰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무엇보다도 ‘밤’은 고백과 성찰의 시간이었고, 그런 한에서 그것은 ‘시’의 시간이기도 했다.

Poems by Yun Dong-ju have long been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poem of resistance’ that has ethnic characteristics or ‘lyric poem’ that reflects inner side of ego. For readers, the name Yun Dong-ju has been regarded as the symbol of resistance poem or lyric poem. His poems deal with poverty and grief under the colonial government. The religious integrity on the sense of shame and belief that originates from this kind of poverty and grief was seen as the classic of modern lyric poem. Despite the recent reinterpretation on Yun’s literature from diverse contexts which grow out of the framework of ‘ethnicity’, the appearance of utterance in his poems is still being understood as the core of lyric poem. This paper attempts to elucidate the lyricism of Yun’s poem by focusing on ‘night’ and ‘confession.’ Not only the poetic word ‘night’ is directly expressed in Yun’s poem, but also the time setting of Yun’s poems is ‘night’ in many case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interpreted the ‘night’ as an image that indicates negative perception on reality or pessimistic world view, similar to ‘darkness.’ However, ‘night’ in Yun’s poem cannot be simplified as an allegory that involves the colonial situation. In particular, ‘night’ appears as an experience that makes relaxation of human being impossible, rather than simple term that symbolizes time, in the pieces written after 1939 when he seriously began to write poems growing out of the world of ‘children’s poem.’ In other words, ‘night’ appears as a trigger that necessitates poem-writing for him. ‘Night’ in Yun’s poem is always sleepless night where he wakes up at midnight or cannot fall asleep. Besides, Yun’s poem can be seen as a response from the speaker upon the arrival of this ‘night.’ This paper attempts to give a new interpretation to 「Another home」, which has been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due to interpretational diversity, in addition to two pieces of prose (「Shoot the moon」 and 「Where shooting stars fell」) that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so far. As our experience proves, ‘night’ is related to private and deep part of human being. In a sense that it covers the time that is not under the rule of light, ‘night’ is a time of sensitivity rather than rationality as well as a time of resting rather than working. Meanwhile, ‘night’ was also a time of reflection and confession to Yun. This means that his writing begins when ‘night’ comes and that ‘poem’ was his action of reflection and confession. As such, ‘night’ and ‘poem’ and the lyric poetic confession and reflection are naturally linked for Yun. Most of all, ‘night’ was the time for confession and reflection and, in that sense, it was also the time of ‘po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