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42.196
3.144.42.196
close menu
KCI 등재
문명(文明)과 무위(武威)의 사이(四夷)-이등동애(伊藤東涯)의 조선관(朝鮮觀)과 문명의식(文明意識)-
Between Civilization(文明) and Bui(武威)-Ito Togai(伊藤東涯)’s view of Choseon(朝鮮) and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文明意識)-
이효원 ( Lee Hyo Won )
한문학논집 48권 107-131(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660696

근래 前田勉(마에다 쓰토무)는 일본 사상사에 병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병학이 武威를 합리화하여 일본 유학자의 武國 관념을 형성하는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문명권 내부의 평화를 지향하는 유학자의 정체성과 무위에 기반한 무국 관념은 서로 충돌하는 것이 아닐까? 伊藤東涯의 경우를 보면 종족적, 지리적 화이론에서 탈각하여 문명의 유무에 따라 중국도 ‘夷’가 될 수 있고 일본도 ‘華’가 될 수 있다는 문명적 화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에 대해서는 이러한 화이관이 균열을 보인다. <三韓紀略> 서문에서 東涯는 고대 일본이 한반도를 복속했다는 자국중심적인 인식을 보인다. 여기서는 무위에 의한 우월의식이 간취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왜구의 침략이나 임진전쟁에 대해서는 무력의 남용으로 양국의 백성이 도탄에 빠졌다고 하며 비판하였다. 그리고 일본이 ‘文’을 통치이념으로 삼는 유교 국가로 거듭날 것을 천명하였다. 이와 같은 東涯의 문명지향성은 荻生?徠와 비교할 때 더 선명하게 드러난다. 일본 유학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무위와 문명의 사이를 위태하게 오가면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유교적 문명성은 무위가 폭주하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준다. 그러나 서구의 침탈에 직면해 균형추는 무위 쪽으로 급격히 기울어갔다. 일본의 사상사 연구는 일본의 주체성, 개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조선을 ‘방법’으로 삼았을 때 근세 일본의 탈중화적인 면모가 꼭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점이 드러난다.

In recent years Maeda Tsutomu(前田勉)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兵學 in Japanese thought history and argued that 兵學 rationalized Bui(武威) and became a philosophical basis for forming concept of Japanese confucianist’s idea of garrison state(武國觀念). However, will not conflict between the identity of confucianist that intends peace inside the civilized area and the idea of garrison state? In the case of Ito Togai(伊藤東涯), he is escape with a race-oriented, geographical Huaikuan(華夷觀), and he think tha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ivilization, China may become “夷”, and Japan may also become “和”. However, this 華夷觀 shows a crack in case of Korea. In the preface attached to the 三韓紀略, 東涯 shows the country-centered recognition that ancient Korean Peninsula was subject to Japan. A sense of superior consciousness is seen. However, on the other hand, criticized the people of both countries have fallen into the disaster by the abuse of military force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e insist that Japan will be reborn as a Confucian nation. 東涯‘s civilization directivity appears more clearly when compared with Ogyu Sorai(荻生?徠). Confucianism in Tokugwa Japan seems to have advanced walking up and down between 武威 and civilization(文明) up to the modern era. Confucian civilization is balanced so that 武威 do not run away. However, in the face of the Western invasion, the equilibrium cone tilted suddenly towards 武威. Japan's thought history research has been structured to emphasize Japanese independence and individuality. However, when consider existence of Korea, it turns out that the aspect of pre-sino-centrism in modern Japan does not necessarily bring positive outcome.

1. 문제제기
2. 伊藤東涯의 華夷論과 균열의 지점
3. 文明과 武威의 사이 - 東涯의 자국인식과 조선관
4. 伊藤東涯의 문명 지향성 - 荻生徂徠와의 비교의 관점에서
5. 방법으로서의 조선 - 결론을 대신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