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01.71
3.145.201.71
close menu
KCI 등재
겐엔학파(?園學派)의 고문 비평의 쟁점과 특징-오규 소라이(荻生?徠)의 『사가준(四家雋)』, 『고문구(古文矩)』, 다자이 슌다이(太宰春臺)의 『문론(文論)』을 중심으로-
Criticism of the Prose of the Kenyen School: Characteristics and Issues
하지영 ( Ha Ji-young )
한문학논집 48권 133-161(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660707

에도 시대 한문 문장의 읽기와 쓰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荻生?徠와 그의 문인들은 그 흐름의 선두에 위치하였다. 고문의 辭를 문제 삼았던 만큼 이들은 자신의 논의를 해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근거와 사례가 필요하였다. 荻生?徠의 <四家雋>, <古文矩>는 고문의 서사, 자구의 운용, 전환, 함축 등에 각별히 주목한 산문 비평서이다. 소라이의 비평 방식은, 산문에서 서사의 회복이 중요하며 이는 수사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는 그의 문학론을 반영한 것이다. 소라이의 비평은 전후칠자마저도 구체화시키지 못했던 진한고문론의 수사론을 본격적으로 보여주는 실례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편 太宰春臺의 <文論>은 재도론에 의거하여 전후칠자의 문학과 소라이의 문학론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는 산문 비평서이다. 훈고와 고증의 방식을 통해 문학 비평을 수행했다는 점, 그리고 문학적 수사에 대해 강한 경계를 취하고 있다는 점은 그의 <문론>이 보유하고 있는 독특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비슷한 시기 조선문단에서 시행된 산문 비평과 비교해 보았을 때, 소라이와 슌다이의 산문 비평은 전후칠자 문학을 대상 텍스트로 하여 구체적으로 비평을 가하고 있다는 점, 자구 위주의 촘촘한 비평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들의 비평 방식은 한문 산문에 대한 한일 양국의 문사들의 입장차를 유추해 볼 수 있는 하나의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terest in reading and writing of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Edo Period has increased, and Ohgyu Sorai and his Disciples were at the beginning of the flow. The more the rhetoric of Classical Literature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more concrete grounds and cases were needed to elucidate their own arguments. Sorai of < Sagajun(四家雋) >, < Komungu(古文矩) > is prose criticism that pays exceptional attention to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the operation of the lexical items, and the connotations of ancient writing. Sorai’s criticism method reflects his literary theory including the idea that recovery of a descriptive is important in prose, and it can be achieved through rhetoric. Sorai’s critique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n actual example that genuinely demonstrates the remedy of Qin Han classical theory which had not been materialize even by the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前後七子). On the other hand, Dazai Shundai of < Munron(文論) > is prose criticism that refutes Sorai’s literature theory,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 on the basis of the Jaedolon theory(載道論). The reasoning behind literary criticism in the way of historical explication, along with the reasoning behind taking strong warning against literary remedies can be said to be the unique reasoning held by his lecture literature. When compared it with the prose criticism enforced at the Korean literary world at the same time, the prose criticism of Sorai and Shundai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y criticize the literature of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s Literature, and second, they carry out detailed analysis in words and phrasal units. These methods of criticism can provide one clue that can be seen by analogy of the differences in the position of the writers of Korean and Japanese about Classical Chinese.

1. 서론
2. 에도 시대의 문장 비평서, 작법서의 유통과 겐엔학파
3. 荻生徂徠의 『四家雋』, 『古文矩』
4. 太宰春臺의 『文論』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