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205.109
3.128.205.109
close menu
KCI 후보
<포쇄일기>에 나타난 공간의 양상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laces in < Airing Out Books Records >
김미정 ( Kim Mi-jeong )
영주어문 37권 81-108(28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660799

<포쇄일기>는 박정양이 포쇄관으로 임명되어 1871년 8월 27일부터 10월 11일까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를 돌아보고 지은 국문 기행가사이다. 포쇄는 사고에 보관된 실록이 습기에 부식되거나 충해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바람이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작자는 무주 적상산성 사고와 봉화 태백산 사고의 업무를 마치고 <포쇄일기>를 창작하였다. 이 작품은 총 2,366행으로, 현전하는 국내 기행가사 중에서 가장 길다. 구조는 두 곳의 목적지와 두 경로로 인해 ‘①출발 동기 및 행장-②적상산성까지의 노정-③적상산성에서의 업무 및 감흥-④태백산 사고까지의 노정-⑤태백산 사고에서의 업무 및 감흥-⑥회정-⑦입성 및 창작 배경’의 7단으로 구분되며, 각각은 안정적인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작품 내용은 ‘고을 도착-수령 만남-풍속·대접 평가-전경 묘사’의 서술단위가 병렬로 이어져 있다. 박정양은 여러 지역을 방문하였는데, 단 55곳만을 작품에서 언급하였고 그중에서 다시 선별하여 몇 지역만을 확장하여 의미 있게 그렸다. 이는 공적 업무의 공간·역사 회고의 공간·자연 풍류의 공간·개인 실존의 공간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나 있다. 포쇄 업무를 보는 무주의 적상산성 사고와 봉화의 태백산 사고는 작자의 임무를 실행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수원과 충주에서는 역사 속 인물과 사건을 회상하기도 한다. 이 두 공간에서 작자는 사신으로서의 태도를 보인다. 반면 여행자로서의 면모를 드러내기도 한다. 전주 남고산성과 무주 환수정은 업무에서 벗어나 연회를 즐기는 여유로운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처가와 김학관의 집은 개인 박정양의 모습을 찾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처럼 <포쇄일기>는 왕명 수행이라는 목적으로 인해 그와 관련된 공적 공간이 형상화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창작자로서 개인의 성향까지 더해지면서 여타의 기행가사와는 변별되는 사적인 공간 또한 나타나고 있다.

There are many paternal side-oriented, male-oriented kinship terms in Korea compared to Jeju Since the places for tasks were located Park Jeong Yang made his trip to woodenbuildings made to storebooks at Jeoksangsanseong Fortress and Taebaeksan Mountain for the task of airing out books from August 27th to October 11th, 1871. After visiting Gye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he decided to compile all his experiences into a 2,366 lines travel record in Korean titled < Airing out Books Records >. At two places, there were also two trips made through different routes. This is why the book is comprised of seven parts as following: ① Reason for this trip and preparation, ② Trip 1, ③ Destination 1, ④ Trip 2, ⑤ Destination 2, ⑥ Return trip, ⑦ Palace entrance and background for this work. The contents are written in a paratactic fashion like “arrival to village-town head meeting-wind speed, evaluation of reception-details of scenery.” Starting from Sungnyemun Gate to Dongmyo Shrine, 55 places are mentioned in < Airing out Books Records >. Out of them, Suwon, Mokchon, Jeonju, Muju, Namwon, Bonghwa and Chungju are places of importance. Muju and Bonghwa are public spaces set out for airing out books. At Jeoksangsanseong Fortress and Taebaeksan Mountain, Park’s records are focused on details regarding his tasks. At Suwon Hwaseong and Chungju Chungnyeolsa Shrine and Tangeumdae Terrace, he reminisces about historical figures. He details sites related to the figures and praises their good deeds. Even at the places surrounded by nature and where banquets are being held, Park’s taste for the arts as a traveler is revealed. These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Jeonju Namgosanseong Fortress and Muju Hwansujeong Pavilion. Also, private spaces are detailed. Park visits his wife’s family and spends personal time with them as well as looking around Kim Hak Kwan’s house. Park Jeong Yang’s reason for traveling was because he was assigned to the position of airing out annals in two different sites. Therefore, the traveling team’s route was already set out and also visited earlier by others. Although the places were designated, the people and situations faced by Park are individually unique. The public and private spaces intersect in < Airing Out Books Records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