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08.11
18.217.108.11
close menu
KCI 후보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안동 방언의 ‘하십시오’체 의문형 어미 연구
A study on Interrogative Ending of ‘하십시오’ Style in Andong Dialect for Marriage Migrant Women
권화숙 ( Kwon Hwa-suk )
영주어문 37권 263-281(19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660855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방언 문법 교수요목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교재 개발 및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이에 경북 안동 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방언 문법 교수·학습을 위해 안동 방언의 문법적 특징이 잘 드러나는 의문형 어미 중에서 상대 높임 격식체의 ‘아주 높임’에 해당되는 ‘하십시오’체 의문형 어미 가운데 이 지역에서 비교적 사용 빈도가 높은 ‘-(으)이껴’, ‘-니껴’, ‘-(으)ㄹ리껴’, ‘-디(이)껴’, ‘-(으)ㄹ라니껴’를 중심으로 하여 이해 문법의 차원에서 문법적 제약 및 의미 기능과 쓰임에 대해 이들 어미에 대응될 수 있는 표준어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안동 방언에는 후기중세국어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어 현재의 표준어와 의문문의 실현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 어미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표준어와의 비교를 통해 형태 연습과 더불어 그 의미적 기능과 문법적 특징 및 쓰임을 이해하는 게 효율적일 것이다. 특히 문장 발화시의 초점화와 문말 억양의 실현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화자의 의도 차이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원활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syllabus of Korean dialect grammar aimed for female immigrants for marriage and find efficient ways to develop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As a part of fundamental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paper searches fo efficient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dialect grammar for the female immigrants for marriage who living in Andong region, Gyeongsangbuk-do Province in Korea. Among the interrogative endings that clearly reveal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Andong dialect, the paper focuses on the ‘Hae (해)’ style, which corresponds to informal style of ‘extensive familiar speech’ in relative honorification.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으)이껴’, ‘-니껴’, ‘-(으)ㄹ리껴’, ‘-디(이)껴’, ‘-(으)ㄹ라니껴’, which are interrogative endings that are relatively frequently used in this reg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grammars, the study presents grammatical restrictions and semantic functions and uses of these final endings in Andong dialect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ing standard Korean language. Andong dialect has a lot of evidence of late medieval Korean language, which makes it differ from the contemporary standard Korean language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interrogative sentence. For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of these endings, understanding about the semantic function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uses will be required through a comparison with standard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o practice about the forms. In particular, smooth communication should be promoted by helping the learners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focusing at sentence utterance and realization of sentence ending intonation as well as realize the difference of intention by the speak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