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28.197
18.226.28.197
close menu
KCI 후보
의성어 교육방안 제안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화자의 ‘웃음’ 의성어 인식 비교
Comparison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anguage Foreign Learners' Consciousness about Onomatopoeic Words for Suggesting Its Desirabl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Focusing o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박나리 ( Park Na-ree )
영주어문 37권 283-310(28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660860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의성어 의태어 교육을 통해 한국어 어휘의 고유한 특징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생생한 한국어 구사 능력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의성어 의태어 교육방안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국어 모어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즐겨 사용하는 웃음 관련 의성어(이하 ‘웃음 의성어’로 지칭)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바람직한 교육적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 한국어교재 및 의성의태어 전문 학습자용 교재에 나타난 웃음 의성어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웃음 의성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부터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를 의성어의 본유적 특징에 입각한 항목을 중심으로 ‘주관식의 열린 설문’을 시행하여 귀납적으로 살폈다. 이어 바람직한 웃음 의성어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해 이에 대한 한국어 모어화자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과 비교 대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간에 웃음 의성어에 대한 인식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웃음 의성어를 사용하는 ①화자(성별과 연령), ②발화상황(웃을 때의 상황), ③웃음의 진정성, ④웃음의 인상적 이미지, ⑤웃음의 물리적 특징(웃을 때의 입 모양, 소리의 크기, 웃을 때 동반되는 동작언어 등)에 대한 인식의 차가 크게 나타나, 이들을 대조 변인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개별 의성어를 교수할 때에 이들 다섯 가지의 대조 변인을 중심으로 한 의성어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둘째, 웃음 관련 개별 의성어에 대한 개별 학습자 간 인식의 차도 매우 크게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은 웃음 의성어를 개별적으로 가르친 후에 이들을 다시 앞서 언급한 다섯 가지의 대조변인에 따라 종합적으로 비교 대조하는 교육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고 보았다. 셋째, 웃음 의성어를 파생시키는 주요 메커니즘인 모음조화에 대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특별한 인식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바, 모음조화와 웃음 의성어와의 분화 및 생산 관련성을 이해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을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의성어를 다룬 예외적인 한국어교재의 경우, 단순 설명과 예시 위주로 교재가 구성되어, 보다 실제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관심과 동기를 효과적으로 불러일으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Highly develope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one of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n Korean language which hardly appear so often in other languages. Accordingly, these words in Korean language are ver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However, nearly every Korean textbooks do not thes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so specifically. This can cause many Korean learners to unaware of one of the most vivid and peculiar Korean expression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how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taught for foreigners as the first step in studies of desirable educations for onomatopoeic and mimetic Korean words since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greatly often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in daily life. For this objective, first, how onomatopoeic words are suggested in main ten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examined. Then, in order to figure out desirable education way, not only Korean learners' consciousness but also Korean natives' ones are looked through and compared each other. Based on results of these examination,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ducation. Firstly, there seems to exist such a big gap between Korean natives and Korean learners in understanding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specially on its producer's age and sex, speaking situation, laughing impression, sincerity of laughing, and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aughing. This phenomenon concludes these three differentiative features are stressed when instructing laughing onomatopoeic words. Secondly, enormous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learners in understanding of each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examined. This shows us that general comparison betwee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after the instruction of each. Also,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nvincing evidence that onomatopoeic words in group are to be treated in Korean textbooks in an explicit way. Thirdly, Korean learners are likely not to be so conscious of vowel harmony i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Therefore contrasts between bright vowels and dark vowels in production of onomatopoeic laughing words are necessary to learn. Lastly, realistic materials which are used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encouraged in order to raise learners' interests and motiva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