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2.172
3.133.12.172
close menu
KCI 등재
외상후성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장한 ( Jang Han ) , 김진숙 ( Kim Jinsook )
상담학연구 18권 5호 85-105(2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63638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후성장과 관련된 인지, 정서, 자아 및 지지 변인군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외상후성장 관련 논문 110편을 메타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변인군에는 27개의 변인이 포함되었고 네 변인군 모두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 변인군에서는 삶의 의미, 정서 변인군에서는 영성, 자아 변인군에서는 탄력성, 지지 변인군에서는 가족탄력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변인별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의 구성, 외상의 유형, 연령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대상에 포함된 여성의 비율은 어떤 변인군에서도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상후성장을 위한 상담개입과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comprehensive conclu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in the clusters of cognition, emotion, self, and support. For this purpose, 110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were meta-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7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four variable clusters and the effect size of all four clusters were large. Second, meaning of life in the cognition cluster, spirituality in the emotion cluster, resilience in the ego cluster, and family resilience in the support cluster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Third,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concerning subject type, types of trauma, age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atio of female in the subje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ny variable cluste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