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02.4
3.15.202.4
close menu
KCI 등재
성폭력·가정폭력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 공감방식과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Impacts of Job Stressors on Empathy Fatigue among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Counselors: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Style and Traumatic Experience
박빛나 ( Park Bit-na ) , 손은정 ( Sohn Eunjung )
상담학연구 18권 5호 133-151(19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63640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외상사건을 경험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상담하는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역할 스트레스, 환경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공감방식(상상하기, 개인적 고통)과 외상경험(이전 외상경험, 외상경험의 현재 영향)이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며, 둘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감방식과 외상경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 있는 성폭력 상담소, 가정폭력 상담소, 스마일 센터 등에서 근무하는 상담자 121명이었으며,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공감방식, 외상경험, 공감피로 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 스트레스, 공감방식인 상상하기와 이전 외상경험이 공감피로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경험의 현재 영향이 역할 스트레스와 공감피로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자의 역할 스트레스가 높으면서 이전에 경험한 외상사건의 현재 영향력이 높은 경우 공감피로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높다하더라도 상담 등을 통해 외상경험의 현재 영향력을 감소시킨다면 공감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job stressors(role stress, environment stress, and interpersonal stress), empathy style(fantasy imagination and personal distress) and traumatic experience(post traumatic experience and its current effect) of the counselors who consult the clients that experienced traumatic event impact on empathy fatigue.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empathy and traumatic experience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empathy fatigue. The subjects were 121 counselors working at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 domestic violence counseling center, and smile center in Korea.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fill in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Job Stressor Scale, Empathy Style Scale, Traumatic Experience Scale, and Compassion Fatigue Scale. Correlation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ole stress of job stressor, imagination of empathy style, and the post traumatic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fatigue. Second, the current effect of traumatic exper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empathy fatigue. In other words, empathy fatig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role stress of the counselors was high and the current influence of the previous traumatic events wa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assion fatigue would decrease if the current effect of traumatic experience could be reduced by counseling in spite of high level of job stresso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