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51.141
3.145.151.141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자존감 특성에 따른 잠재유형 탐색 및 유형별 정신건강 기능의 차이
Exploration of Latent Profiles by Self-esteem Qualities and Differences of Mental Health Functions across the Profiles in High Schooler
권혜수 ( Hye-soo Kwon ) , 최윤정 ( Yoon-jung Choi )
상담학연구 18권 5호 169-190(22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63642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존감 수준, 자존감 안정성, 자존감 수반성에 따라 동질적인 집단이 분류되는 지를 탐색하고, 하위 유형에 따라 정신건강기능(암묵적 자존감, 사회적 바람직성,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부정적 정서)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내 고등학교 재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의 특징에 따라 높은 자존감-강건한 유형(유형1), 높은 자존감-취약한 유형(유형 2), 낮은 자존감-안정된 유형(유형 3), 낮은 자존감-취약한 유형(유형 4)으로 명명하였다. 분류된 유형에 따라 암묵적 자존감, 사회적 바람직성과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부정적 정서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암묵적 자존감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회적 바람직성과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부정적 정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높은 자존감-강건한 유형(유형1)은 사회적 바람직성이 가장 높고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부적 정서가 가장 낮았다. 높은 자존감-취약한 유형(유형2)과 낮은 자존감-안정된 유형(유형3)은 높은 자존감-강건한 유형(유형1)보다 사회적 바람직성은 낮고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슬픔 및 분노 정서가 높았다. 낮은 자존감-취약한 유형(유형4)은 사회적 바람직성이 가장 낮고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슬픔, 분노, 무능의 모든 부적 정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진정한 자존감에 관한 연구와 청소년의 자존감 이해와 향상을 위한 상담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homogeneous groups of high school student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self-esteem level, self-esteem stability, and self-esteem contingency,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mental health functions (e. g. implicit self-esteem, social desirability, and negative emotion on negative feedback). Results from Latent Profile Analysis of 506 high school students in Kangwon region indicated the presence of four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High self-esteem - Secure (type 1), High self-esteem - Fragile (type 2), Low self-esteem - Stable (type 3), Low self-esteem - Fragile (type 4) were named. M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implicit self-esteem, social desirability and negative emotions on negative feedback according to the classified type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licit self-esteem among all group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al desirability and negative emotions under negative feedback situation. Type 1 has the highest scores in social desirability and the lowest negative emotions on negative feedback. Type 2 and Type 3 have lower social desirability and higher grief and anger on negative feedback than Type 1. Type 4 has the lowest social desirability and the highest negative emotions such as sadness, anger, and incapacity on negative feedback.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optimal self - esteem research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self - esteem of adolesc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