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205.109
3.128.205.109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교 6학년 다큐멘터리 감상문의 양상 - 정보 다큐멘터리와 감성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
Aspects of the 6th elementary students' Documentary Text Essay
박수자 ( Park Soo-jah )
작문연구 12권 205-246(4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21791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욱 부각된 ‘매체’ 관련 내용의 국어교육적 수용 양상에 주목하고, 국어 수업의 교과 특성과 미디어 텍스트의 특성이 조화를 이룬 국어 학습과제의 개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시작하였다. 사회적 소통 환경을 변화를 반영한다면 국어 수업에서는 매체의 특성이나 기능이 잘 반영된 특정 미디어 텍스트를 이해하거나 창출하는 학습과제를 제시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사회적으로 현재 소통되고 있는 다양한 미디어 텍스트를 교실 장면에서 제시하여 학생들의 미디어 문식성을 계발해야 한다. 이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초등학교 전 학년에 걸쳐 나타나는 감상문을 미디어 텍스트와 결합하여, 미디어 텍스트 감상문 쓰기 활동을 설계하였다. 이 때 교육적 가치가 높은 다큐멘터리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다큐멘터리는 크게 정보 중심 다큐멘터리와 감성 중심 다큐멘터리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두 종류의 다큐멘터리를 시청할 때, 다큐멘터리의 종류에 따라 달리 구안된 학습지를 제시하여 메모하게 하고, 이후 학습지를 참고하여 감상문을 쓰게 하였다. 그 결과 예상외로 학생들의 국어 성적과 감상문의 분석 결과가 비례하지 않았다. 국어 성적별 집단 차이가 감상문의 종류는 물론, 감상문 수량 분석에서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특히 감성 다큐멘터리의 경우는 더더욱 그 차이가 미미하였다. 이는 국어 성적의 평가 방식을 고려할 때, 다큐멘터리 감상문 쓰기와 같은 학습과제는 국어 수업에서 학생의 또 다른 잠재가능성을 발굴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미디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국어 수업은 학교 밖 문식성을 교실 내에 끌어들여 동시대인으로서 초등학교 학습자의 흥미 유발과 사회 참여의 효과를 거두게 하고, 동시에 학생의 좌뇌와 우뇌를 함께 사용하여 복합감각의 학습으로 창의성 계발에 기여하며, 무엇보다도 보고 듣고 쓰는 총체적 언어 학습이 이루어지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media text instruction, by analyzing the 6th elementary students' documentary text essays. Recently media teaching methods were introduced widely in korean language lessons, marching with 2007 revised curriculum. That phenomena is related closely to a social communicative environment changes. Language use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with social media technology. So korean lessons should be taught those relations and strategies to their students. First, documentary text as a representative media text was chosen, because that is highly estimated its educative values. Then documentary texts were devided two classes: expository(information) documentary and narrative(human) documentary. Third, that is say that, documentary text essay writing activities as a media text instruction in korean lesson were designed two steps: first, noting on a memo sheet while watching a documentary, and then writing an essay referring that sheet. Last, 6th students' essays were collected and analysis by several viewpoints. Conclusionally, korean grade marks did not correlate with analysis data of student' essays, even though there were founded some cases, low level students were good at writing a essay. This means that media instructions with korean lesson can develop students potential abilities. This paper proposes that documentary text essay writing activities can make the elementary students to experience a kind of school outside literacy by those media texts, and develop a creative thinking. Furthermore that makes korean lessons to realize a whole language approa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