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2.172
3.133.12.172
close menu
KCI 후보
수요자 중심의 대학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ng Strategies of Demand-Oriented extra curriculum related to the Writing Education at University
김현정 ( Kim Hyeon-jeong ) , 정나래 ( Jeong Na-rae )
작문연구 11권 325-352(2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24989

최근 대학에서 ‘글쓰기’ 교과를 교양필수로 지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글쓰기’ 교과만으로는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높이기는 어렵다. 따라서 ‘글쓰기’ 교과와 같은 정규 교과뿐만 아니라 정규 교과 과정을 보완할 수 있는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호남 지역 3개 대학의 898명 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 교육 및 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응답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지만, 소속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에 대한 지원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 스스로도 글쓰기 학습에 대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 않았다. 특히 학생들은 자신이 쓴 글에 대해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고 인식하고 피드백을 받고 싶어하지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대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글쓰기’ 교과와 연계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쓰기’ 교과의 강의 범위와 수준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과의 연장선상에서 학생들에게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글쓰기’ 담당 강사들의 인력풀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피드백 중심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 강의 위주가 아닌 실습과 피드백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쓴 글에 대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각 대학에서 ‘글쓰기’ 교과가 교양필수화가 되고 있는 현상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글쓰기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정규 교과 과정뿐만 아니라 비정규 교육 과정에서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사례 및 관련 교수법 등에 관한 연구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most Korean universities are designating Composition as a compulsory subject. Nonetheless, it is hard to expect the subject of Composition to enhance students’ writing abilities alone. As a result, many extra curriculum programs connected with Composition should be design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regular curriculums which address i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epare a database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extra curricular programs related to Composition. This paper researched the recognition given to students regarding writing education and study involved 898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three universities in Kwangju and Jeonnam Provinc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tudents have generally felt the necessity for education regarding writing skills at university. However, they have recognized the lack of financial and educational support for writing education. Moreover, there were few students who spent much time on writing. Although most students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feedback and they have wanted their written work to be edited, they have hardly had the opportunities to do so. This essay suggests that the university provide ongoing extra writing programs for the students for improving their’ writing abilities. For the sake of providing effective programs, thre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irstly,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Composition” subject. Secondly, the scope and the level of the subjects’ major should be reflected. Lastly, many opportunities for feedback should be provided as much as possible. Hands-on projects and feedback-centered programs should be offered, so that students should can receive a great deal of feedback. The change of “Composition” into a compulsory subject is a desirable situation. However,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extra and regular curriculums should be developed for furthering students' writing education. Furthermore, examples of concrete development of the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extra curriculum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should be continuously explor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