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50.83
3.145.50.83
close menu
KCI 등재
온건한 실제 의도주의의 옹호
A Defense of Moderate Actual Intentionalism
오종환 ( Oh Chong-hwan )
인문논총 74권 4호 177-216(40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3953914

필자는 예술작품은 일상적 대화에서의 발화에 유비될 수 있다는 캐럴의 입장을 받아들여, 대화에서 우리가 상대방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에 관심이 있듯이 예술작품의 해석에서도 작가가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려 하는가라는 대화적 관심이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온건한 의도주의는 발화의 경우 문법적 제약 및 발화의 맥락, 배경 지식 등 발화의 의미를 제한하는 공적인 측면만으로는 하나의 의미가 결정되지 않기에, 그 의미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화자의 의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온건한 의도주의는 발화 의미의 결정에 공적인 제약의 적용된다는 점을 인정하기에, 공적인 규약을 무시한 채 발화 의도만으로 발화 의미가 결정된다는 과격한 의도주의에 대한 반의도주의의 비판이 온건한 의도주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같은 맥락에서 온건한 의도주의는 모든 예술작품의 해석에서 언어적 제약과 맥락의 중요성을 인정하며, 이것으로 의미가 확정되지 않을 때만 작가의 의도를 고려하는 입장이다. 이는 우리의 비평의 관행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며, 많은 비평가들이 작품의 의미에 대해 논쟁하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은, 의미를 규정하는 공적인 요소들만으로도 작품의 의미가 하나로 확정될 수 있다는 반의도주의자의 주장이 신빙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필자는 발화의 공적 제약만으로도 하나의 발화 의미가 결정된다는 전제를 가지고 온건한 의도주의를 비판하는 이해완의 주장이 순환논증이라는 것을 증명하려 한다. 이상적인 독자가 최선을 다해 구성하여 작가에게 투사한 작가의 의도가 작가가 실제로 가졌던 의도에 우선한다는 가설적 의도주의의 주장은 예술작품이 자기충족적인 개체이며 해석의 목표는 예술작품의 미적/예술적 가치를 최대화하는 것이라는 전제를 근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의도에 대한 우리의 직관에 상치되기에 부정된다. 따라서 문학작품의 해석을 대화와 유비적 관계로 보는 직관 즉 작가가 그들의 작품을 통하여 감상자에게 무엇인가를 말하려 한다는 직관을 바탕으로 하여 예술작품의 해석을 설명하는 것은 해석의 이론에 있어서 가장 설득력 있는 입장이다. 왜냐하면 이 입장은 논리적으로 모순된 것도 아니고, 경험적으로 실제의 상황을 가장 설득력 있게 분석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I accept Carroll’s position that the meaning of an artwork can be explained by the analogy with utterer’s meaning in ordinary conversations. When confronted with an utterance, our standard cognitive goal is to figure out what the speaker intends to say. Likewise, when con-fronted with an artwork, we try to figure out what the artist wants to tell us by means of his or her work. Moderate intentionalism holds that we need to know the intent of the speaker in order to fix the meaning of his or her utterance, because the constraints of grammatical, contextual, and background knowledge still allow several possible meanings. Radical intentionalism, on the other hand, holds that the intent of the speaker can determine the meaning of an utterance without those constraints. I argue that the criticism of anti-intentionalism against radical intentionalism does not apply in the case of moderate intentionalism, because the latter concedes the role of those constraints. Moderate intentionalism also concedes the importance of those con-straints in the interpretation of artworks, and holds that we need to know the intention of the artist, only when the meaning of an artwork is not de-termined in spite of our consideration of those constraints. The fact that the interpretations of an artwork can diverge and actually do diverge in the field of artistic criticism shows the implausibility of the anti-in-tentionalist claim that only those constraints can determine the meaning of an artwork. Therefore, I try to show that Haewan Lee’s criticism against moderate intentionalism, which is based on this claim, begs the question. Hypothetical intentionalism holds that the intention of a writer should be considered as the intention which epistemically ideal readers construct and project onto him or her on the basis of the work for the maximum aesthetic and/or artistic value. Even though this position presupposes the autonomy of the artwork, I argue that we must reject it because its view of intention runs counter to our commonsense. I argue that moderate actual intentionalism is the best theory of the interpretation of artworks, because it explains the actual situations of artistic criticism most convincingly without any logical inconsisten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