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61.119
13.59.61.119
close menu
KCI 등재
당대(唐代) 교방(敎坊) 대곡(大曲)과 당오대문인사(唐五代文人詞)의 희극성(戱劇性)에 대한 상관적 고찰
A Study on the Dramatism of the Jiaofang Daqu and the Ci-poetry Written by Literators in Tang and the Five Dynasties
김수희 ( Kim Soohee )
중국문학 93권 125-151(27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6974

唐五代文人詞는 文人化를 통해 文雅한 사 세계를 구축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당오대문인사에도 民間詞에 보이는 戱劇性이 존재한다. 이때의 희극성이란 元 雜劇 이후 본격적으로 대두된 전문적인 희극성은 아니고, 가창문학 고유의 희극성이 사의 가창공연을 통해 특화된 희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당오대문인사는 문인사의 시작으로서 그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선도하는데, 그러므로 당오대문인사의 희극성은 문인사의 정체성, 더 나아가 사의 장르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사의 희극성이 당오대 시기 가창공연으로 인해 특화됐다고 생각한다. 사의 공연은 대부분 여성 樂妓가 담당했는데, 이들은 盛唐 시기 敎坊 大曲의 가무공연에서 계발 받은 바가 있다. 이에 우선 교방 악공의 역할과 사에 대한 공헌을 살펴본 후, 교방 대곡의 가무공연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공연특성은 여성 악기의 가창공연을 통해 당오대문인사에도 반영되었고, 이로 인해 문인사 또한 희극성을 지니게 되었다. 당오대문인사의 희극성을 인정하는 것은 그간사의 희극성을 民間詞에서만 찾던 학문풍토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唐五代文人詞按照文人趨向追求雅詞的, 詞學界已所周知. 但是, 文人詞爲了詞的歌唱性, 還活用公演藝術的特征. 唐代公演藝術以敎坊爲中心發展, 敎坊乃擔當宮中俗樂的官署, 先導宮中和民間的公演. 尤其是對於曲子詞, 敎坊樂工, 流入民間後, 親自整理歌詞, 按照新聲創造歌詞. 因此樂工在詞的出現上給了重要的貢獻. 敎坊樂工一邊進行敎坊大曲的歌舞公演, 一邊在文人酒宴上演出歌唱. 所以敎坊大曲歌舞戱的特征應該反映到唐五代文人詞. 敎坊大曲抱有三個戱曲的特征, 卽女性化, 舞蹈設定, 敍事取材. 隨著這三個戱曲性, 唐五代文人詞也抱有三個戱曲的特征. 第一, 喜用女性人物的聲音, 這女性人物原來是虛構的, 不是表出作家的懷才不遇的實體. 還有女性人物向檀郎說話, 這樣男女對話是?登場人物對話的戱曲構造一樣的. 第二, 把女性人物視角地描述了. 在公演當中, 歌妓一邊唱歌一邊跳舞, ?的外貌-頭髮樣式、化?、服裝等, 引起了觀衆的關心和興趣. 因此習慣於觀看公演的文人也?重視歌妓的外貌服裝和行動, 塡詞時, 湊中心血, 把女性人物視角地描述了. 第三, 活用愛情和神仙所結合的故事, 譬如楚襄王和巫山神女, 劉阮與天台山神女等, 使小令短詞可以擁有?長的故事. 唐五代文人詞有這三個戱曲的特征, 就意味著文人詞也追求公演藝術本然的俗性.

1. 들어가며
2. 敎坊 樂工의 매개적 역할과 詞에의 기여
3. 敎坊 大曲의 가무공연 특성
4. 당오대문인사의 희극성 형성
5.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