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23.123
18.191.223.123
close menu
KCI 등재
영화적 리얼리즘의 “계획적 건축” - 식민지 조선의 논픽션 외화에 대한 노트 -
Planned Architectures of Cinematic Realism - Notes on Nonfiction Foreign Film in Colonial Korea -
스티븐 정 ( Steven Chung )
사이間SAI 23권 99-130(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4290207

이 논문의 쟁점은 식민지 조선에서 상영된 논픽션 외화들에 대한 것으로, 크게 두 가지 목적을 지니고 있다. 우선 본 논문은 식민지 조선에서 상영된 논픽션 영화들을 추적, 검토하고자 한다. 당시의 아카이브 자료들을 살펴본 결과, 세계 각국의 논픽션 영화들이 무작위로 상영되기보다는 일련의 논픽션 외화들이 역동적이면서도 세밀하게 관장하는 선별 과정을 통해서 당시의 관객들에게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율은 식민 정부의 이데올로기적 태도와 통치 구조에 못지않게 일본과 조선 내에 형성된 상업적 배급과 전시의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기인한 바가 크다. 이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영화 매체가 개념화되고 보여지고 탐구되는 과정에서 해외 논픽션 영화들이 가졌던 역할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리얼리즘이나 핍진성을 둘러싼 논쟁들이 영화 기술이 도입된 초기 시기를 거치며 활성화되긴 했지만, 논픽션 영화들은 이러한 논쟁과 직접 관련이 있기보다는 예술 형식으로서 영화의 지위, 기구적인 동시에 이데올로기적인 정치학, 그리고 보다 폭넓게는 제국들이 경합하는 세계 내에서 조선의 위치를 둘러싸고 계속되었던 논쟁들과 관련해서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nonfiction foreign films that were screened in colonial Korea. It has two broad aims. The first is to trace the presence of nonfiction films in colonial Korea. The archival record reveals that, rather than a random sampling of global nonfiction films, colonial Korean audiences were presented with a dynamic and scrupulously curated selection of nonfiction films, owing as much to the ideological bearings and governing structures of the colonial government as to the complex networks of commercial distribution and exhibition forged within Japan and Korea. The second aim is to reconstruct what role foreign nonfiction films played in the ways that the medium was conceptualized, seen and exploited. Rather than bearing direct relevance to the debates around realism or verisimilitude (which were of course robust, especially in the early yea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film technology), nonfiction film occupied a more important place in ongoing debates about the status of film as an art form, its relation to both institutional and ideological politics, and, most broadly, the place of Korea in a world of contested empi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