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31.28
3.145.131.28
close menu
KCI 등재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 문법교육 - 문법항목 중심의 문법교수에서 기능범주 중심의 문법교수로 -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comunication - To instruction of grammar fuctional caterories from instruction of grammatical items
한송화 ( Han Song-hwa )
배달말 61권 1-26(2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43393

본 연구에서는 문법항목 중심의 한국어 문법교육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의 대안으로 기능범주 중심의 문법교육을 제안하였다. 청각구두교수법의 한국어교육 초기부터 지금까지 동일하게 이루어져 온 문법항목 중심의 문법교육은 문법항목 간 연계나 체계, 구조보다는 문법항목 자체의 낱낱의 의미와 기능만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자의 한국어 문법 구조화나 체계화를 어렵게 한다. 또 기능이 강조되는 의사소통교수법으로 오면서 교수해야 할 문법항목의 양은 엄청나게 늘어났는데 이러한 많은 수의 문법항목의 학습이 곧 학습자의 문법 능력의 숙달도와 비례한다고도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문법 교수 단위로서 기능을 중심으로 한 문법범주를 제안하였다. 기능범주 중심의 문법 교수요목은 언어 형태가 아닌, 기능이 문법교수의 목표가 되므로 언어 형태(즉 문법항목) 간 연계성이나 맥락에 따른 화자의 언어 형태의 선택 요건에 집중하게 하여 실제적인 의사소통 활동을 할 수 있게 하며, 문법항목과 문법을 동일시함으로써 유발되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문법’의 모호성도 벗어날 수 있게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suggested functional categories for units of Korean grammar instruction. From the 1950’s, we have taught grammatical items from pattern drill of audio-lingual method. Now Korean teaching method has been changed to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but the units of Korean grammar instruction has been grammatical items as ever. But Korean learners can’t organize Korean grammar structure by grammatical items-based syllabus because they have learned individual items without associating one to others. Moreover teacher have a conversation losing reality to their students in their grammar class because they emphasize not reason why speakers choose different items according to context, but meaning of each item. Therefore I suggested functional categories-based grammar syllabus and realized samples for resolving these problem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