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9.210
3.128.199.210
close menu
KCI 등재
특수학교 중·고등학교의 기본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유형별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Type of the Basic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s of Special Schools
송승민 ( Song Seung Min )
UCI I410-ECN-0102-2018-300-004028633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자율성과 재량권을 더욱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본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전국의 특수학교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변인별 특성에 따라 분석하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특수학교의 특성별 사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중학교 139개, 고등학교 136개의 특수학교를 전수조사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표본선정을 실시하여 각 군집을 나타내는 3개의 특수학교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유형은 중학교는 국가 수준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고등학교는 국가 수준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진로와 직업 중심으로 나타났다. 실제 특수학교에서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국가 수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 기준 시수를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특수학교에서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데 있어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였을 때 각 단위 학교에서는 장애학생의 다양한 학습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특색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구안하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vised to expand the autonomy and discretion to organize and implement the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special schools in Korea that organize and implement the ba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types,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schools of each type. For this purpose, 139 middle schools and 136 high schools of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by cluster analysis. After that, three special schools representing each cluster were selected through unique sampling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basic curriculum were as follows: The middle school were ‘centered on national level’ and ‘centered on creative excremental activity’. The high school were ‘centered on national level’, ‘centered on creative excremental activity’, and ‘centered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tually, it has been shown that the standard curriculum standardized at the national level was directly applied to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basic curriculum at special schools. Second, the special schools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school curriculum c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i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Therefore, each school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an distinctive schoo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ies to meet the diverse learning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